본문 바로가기
2008.05.08 14:12

푸석수염

조회 수 7937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푸석수염

북녘말

남북은 ‘겨레말 큰사전’ 편찬에 쓸 새말을 조사하고 있다. 새말이란 최근 들어 만든 말(신어)을 가리킨다. 겨레말큰사전 편찬에서는 국어사전에 미처 실리지 못한 말(미등재어)도 새말에 포함한다. 새말 조사는 2006년부터 시작됐고, 공동 편찬 회의에서는 지금까지 5차에 걸쳐 5000여 새말이 교환됐다. 북녘에서 나온 새말 가운데 ‘푸석수염’이 있다.

“광대뼈가 두드러진 아래로 길쭉하니 내리패인 호물때기 볼에 한도리 감아붙인것 같은 구레나루와 입술이 푹 파묻힌 푸석수염에는 잔고드름들이 그득 매달렸다.”(류근순 <병기창에서>, <조선문학> 1968년 2-3호)

푸석수염은 ‘푸석푸석하게 자란 수염’이다. 이는 ‘푸석푸석한 피부에 거칠게 난 수염 혹은 수염 자체가 푸석푸석한 것’ 등을 함께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푸석’과 관련된 말로 ‘푸석돌·푸석살·푸석이·푸석흙’ 등이 있다. 모두 ‘푸석푸석한 무엇’으로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북녘에서는 ‘푸석돌’과 같은 뜻의 ‘퍼석돌’도 쓴다. ‘푸석이’는 북녘에서 ‘푸서기’로 쓰고, 물건과 사람을 모두 가리킨다. 곧 ‘부서지기 쉬운 물건’, ‘옹골차지 못한 사람’을 이른다. ‘푸석흙’은 ‘경조토’(輕燥土)를 다듬은 말로 보인다.

‘푸석푸석하다’와 ‘퍼석퍼석하다’는 비슷한 뜻인데, ‘퍼석퍼석하다’는 ‘원래 물기가 좀 있다가 없어진 상태’에 쓰인다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사과가 퍼석퍼석하다”, “무가 오래되어 퍼석퍼석하고 맛이 없다” 등에서 ‘푸석푸석하다’를 대신 쓰면 좀 어색하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29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77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683
3216 말의 평가절하 관리자 2022.01.31 1314
3215 정치와 은유(2, 3) 風文 2022.10.13 1314
3214 언어적 적폐 風文 2022.02.08 1316
3213 '바치다'와 '받치다' file 風文 2023.01.04 1318
3212 선정-지정 / 얼룩빼기 황소 風文 2020.05.15 1321
3211 ○○노조 風文 2022.12.26 1321
3210 어떤 문답 관리자 2022.01.31 1322
3209 호언장담 風文 2022.05.09 1322
3208 정치인의 애칭 風文 2022.02.08 1326
3207 이름 짓기, ‘쌔우다’ 風文 2022.10.24 1326
3206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1326
3205 ‘폭팔’과 ‘망말’ 風文 2024.01.04 1327
3204 수능 국어영역 風文 2023.06.19 1329
3203 “힘 빼”, 작은, 하찮은 風文 2022.10.26 1331
3202 두꺼운 다리, 얇은 허리 風文 2023.05.24 1331
3201 말의 적 / 화무십일홍 風文 2023.10.09 1331
3200 뉴 노멀, 막말을 위한 변명 風文 2022.08.14 1332
3199 부동층이 부럽다, 선입견 風文 2022.10.15 1332
3198 본정통(本町通) 風文 2023.11.14 1335
3197 풀어쓰기, 오촌 아재 風文 2022.10.08 1336
3196 가족 호칭 혁신, 일본식 외래어 風文 2022.06.26 1339
3195 직거래하는 냄새, 은유 가라앉히기 風文 2022.08.06 133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