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05 16:33

벌개미취

조회 수 7007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벌개미취

풀꽃이름
 



 



꽃값이 비싸다 싸다 얘기하지만, 어버이날이나 졸업식날 등 특별한 날을 빼고는 한결같다. 여름에는 싸지만 금방 피었다 시들고, 겨울에는 비싸지만 오래 볼 수 있으니 결국 시간당 누리는 꽃값은 같다. 엊그제 외국인 학생들의 한국어 과정 수료식을 마치고 국화꽃다발을 선물로 받았는데, 그 중에 보니 ‘벌개미취’도 들어 있다. 우연으로 그랬겠지만 서양식 꽃말이 ‘그대를 잊지 않으리!’라니 고맙다.

‘벌개미취’에서 ‘벌’은 ‘넓은 벌 동쪽 끝으로~’에 나오는 그 벌이다. ‘벌노랑이/ 벌씀바귀’처럼 들판에 나는 풀꽃 이름에 붙인다. ‘개미’는 꽃잎 하나 하나가 개미를 닮은 듯하고, ‘취’는 어린잎을 나물로 먹기애 붙었다. ‘벌개미취’는 사는 데, 생긴 모양, 쓰임이 두루 어울린 이름이다.

미국 도시이름 ‘시애틀’은 본디 원주민 추장 이름이었다고 한다. ‘합법적’으로 헐값에 땅을 팔라는 그쪽 대통령의 제안에 시애틀 추장은 “우리가 어떻게 공기와 시냇물을 소유할 수 있으며, 소유하지도 않은 것을 사고 판다는 말인가?” 하고 반문했다. 더욱이 ‘들꽃은 우리 누이고, 말과 독수리는 우리 형제’라고 했다니, 시애틀 추장이 보기에 벌판에 있는 꽃을 꺾어 파는 일은 얼마나 가슴 아픈 일일까.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사진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80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40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345
3128 정치의 유목화 風文 2022.01.29 1560
3127 어쩌다 보니 風文 2023.04.14 1561
3126 온나인? 올라인? 風文 2024.03.26 1562
3125 ‘~면서’, 정치와 은유(1): 전쟁 風文 2022.10.12 1563
3124 너무 風文 2023.04.24 1563
3123 지도자의 화법 風文 2022.01.15 1565
3122 언어적 자해 風文 2022.02.06 1565
3121 헛스윙, 헛웃음, 헛기침의 쓸모 風文 2023.01.09 1568
3120 지명의 의의 風文 2021.11.15 1569
3119 표준말의 기강, 의미와 신뢰 風文 2022.06.30 1569
3118 배레나룻 風文 2024.02.18 1571
3117 기림비 2 / 오른쪽 風文 2020.06.02 1575
3116 아이 위시 아파트 風文 2023.05.28 1578
3115 울타리 표현, 끝없는 말 風文 2022.09.23 1581
3114 후텁지근한 風文 2023.11.15 1581
3113 인기척, 허하다 風文 2022.08.17 1582
3112 존맛 風文 2023.06.28 1585
3111 맞춤법을 없애자, 맞춤법을 없애자 2 風文 2022.09.09 1588
3110 단골 風文 2023.05.22 1593
3109 국가의 목소리 風文 2023.02.06 1594
3108 비는 오는 게 맞나, 현타 風文 2022.08.02 1596
3107 참고와 참조 風文 2023.07.09 159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