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30 08:08

갑작힘

조회 수 8371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갑작힘

북녘말

“큰 고기가 물렸다고 덤비면서 갑작힘을 주면 물고기는 낚시끝에 찢긴 제코를 남겨놓고 도망친다우.”(장편소설 <참대는 불에 타도>)

갑작힘은 ‘갑자기 쓰는 힘’이다. ‘갑작’은 ‘갑작스럽다’에서 확인되는데, ‘갑작’에 대한 남북의 견해가 다르다. 남녘에서는 어근으로 보고, 북녘에서는 부사로 본다. 부사 ‘갑자기’의 준말로 보는 것이다. 여기서의 어근은 자립하지 못하는 어근을 말한다. 어근을 ‘자립 어근’과 ‘비자립 어근’으로 나눌 수 있고, 여기서는 ‘비자립 어근’을 가리킨다.

북녘말에서도 용언을 꾸미는 말로 ‘갑작’을 쓰는 일은 드문 것으로 보인다. 사전에 보기가 제시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북녘말에서 ‘갑작’은 주로 명사나 명사형과 결합하여 낱말을 만드는 기능을 한다. 이를 고려하면, ‘갑작’은 ‘낱말을 만드는 어근’(단어 형성 어근)일 것으로 생각된다. ‘갑작’이 결합된 말로, 갑작달리기(급출발), 갑작바람(돌풍), 갑작변이(돌연변이), 갑작부자(벼락부자), 갑작비(갑자기 내리는 비), 갑작수(갑자기 꾸며 낸 수), 갑작죽음(돌연사), 갑작출세(벼락출세) 등이 있다. 이들 낱말은 대부분 ‘다듬은 말’로, 실제 북녘말에서 정착했는지는 알 수 없다. 익숙하지는 않지만, ‘갑작’과 ‘갑자기’가 같은 뜻이라는 사실만 알면 이들 낱말을 이해하는 데 별 문제가 없다.

최근 남쪽에 ‘급인사·급유행·급칭찬’처럼 접두사 ‘급-’을 붙여 말을 만드는 걸 본다. 접두사 ‘급-’은 1음절인 낱말과 결합하거나 고유어와 결합하면 어색해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갑작’을 활용해 보는 것도 좋겠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33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00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736
3128 너무 風文 2023.04.24 1745
3127 언어적 자해 風文 2022.02.06 1747
3126 풀어쓰기, 오촌 아재 風文 2022.10.08 1747
3125 ‘시끄러워!’, 직연 風文 2022.10.25 1750
3124 되갚음 / 윤석열 風文 2020.05.19 1751
3123 콩글리시 風文 2022.05.18 1751
3122 멋지다 연진아, 멋지다 루카셴코 風文 2023.04.17 1753
3121 ‘~스런’ 風文 2023.12.29 1754
3120 울타리 표현, 끝없는 말 風文 2022.09.23 1756
3119 노랗다와 달다, 없다 風文 2022.07.29 1757
3118 질척거리다, 마약 김밥 風文 2022.12.01 1764
3117 -분, 카울 風文 2020.05.14 1767
3116 美國 - 米國 / 3M 風文 2020.06.08 1769
3115 한글의 약점, 가로쓰기 신문 風文 2022.06.24 1770
3114 비는 오는 게 맞나, 현타 風文 2022.08.02 1770
3113 형용모순, 언어의 퇴보 風文 2022.07.14 1772
3112 납작하다, 국가 사전을 다시? 주인장 2022.10.20 1772
3111 하룻강아지 / 밥약 風文 2020.05.29 1773
3110 '마징가 Z'와 'DMZ' 風文 2023.11.25 1774
3109 열쇳말, 다섯 살까지 風文 2022.11.22 1777
3108 ‘~면서’, 정치와 은유(1): 전쟁 風文 2022.10.12 1779
3107 '넓다'와 '밟다' 風文 2023.12.06 178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