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30 08:05

궂긴소식

조회 수 8946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궂긴소식

언어예절

시대 따라 장례 풍속이 많이 바뀌었다. 그러나 늘 죽음은 하늘이 꺼지고, 한 세상이 저무는 일과 같다. 황망하여 궂긴소식 곧 죽음을 알리는 일조차 상주 아닌 호상 이름으로 내는 게 보통이다. 전날엔 부고장 꽂이를 사랑청에 두고 집안에 들이지 않았으나, 요즘은 부고장 대신 휴대전화나 전자우편으로 한시에 알리는 시절이 됐다.

부고는 알림 중에서도 육하원칙 따라 뼈대만 간추리는 대표적인 알림글이다. 인사말이나 격식이 따로 없다. 세상 버린 이 이름을 앞세워 ‘타계’ 사유와 일시를 보이면서 이를 삼가 알린다고 쓴다. 그 뒤 유족 이름과 관계·직함을 붙이고 빈소와 발인 날짜·시각, 연락처와 호상 이름을 밝히는 정도다. 신문 부고란에는 이보다 더 간략히 간추리기도 하고, 아무개의 부친·모친상 …으로 시작하기도 한다.

초상은 경황 없이 치르기 마련이어서 인사할 여유가 없으므로, 나중에 틈을 여투어 친지들에게 인사 편지를 보내는 게 도리다. 문상을 놓친 이도 있을 터이다.

부고는 부음·휘음·애계·흉문 …처럼 일컬음도 갖가지다. 사람 따라 죽음을 타계·별세·작고·서거·운명·하세 …로 달리 말하기도 하고, 종교 따라 선종·입적·열반·승천·소천 …들로 쓰기도 한다.

그 무엇보다 ‘돌아가시다, 세상 버리다, 가시다 …’들이 어울린다. 흔히 쓰는 ‘사망하다, 죽다’는 야박한 느낌을 주므로 사건·사고를 객관적으로 전달하는 언론에서도 쓰기에 걸맞지 않다. 예컨대 “20명이 사망하고(죽고) 30명이 부상했다”보다는 “스무 명이 숨지고 서른 명이 다쳤다”가 자연스럽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83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49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297
3128 ‘시끄러워!’, 직연 風文 2022.10.25 1727
3127 전설의 마녀, 찌라시 / 지라시 風文 2020.06.16 1731
3126 ‘~스런’ 風文 2023.12.29 1733
3125 풀어쓰기, 오촌 아재 風文 2022.10.08 1735
3124 멋지다 연진아, 멋지다 루카셴코 風文 2023.04.17 1736
3123 지명의 의의 風文 2021.11.15 1737
3122 언어적 자해 風文 2022.02.06 1737
3121 백열 / 풋닭곰 風文 2020.05.09 1740
3120 울타리 표현, 끝없는 말 風文 2022.09.23 1742
3119 질척거리다, 마약 김밥 風文 2022.12.01 1745
3118 되갚음 / 윤석열 風文 2020.05.19 1747
3117 비는 오는 게 맞나, 현타 風文 2022.08.02 1754
3116 '마징가 Z'와 'DMZ' 風文 2023.11.25 1754
3115 -분, 카울 風文 2020.05.14 1755
3114 ‘사흘’ 사태, 그래서 어쩌라고 風文 2022.08.21 1755
3113 '넓다'와 '밟다' 風文 2023.12.06 1755
3112 ‘폭팔’과 ‘망말’ 風文 2024.01.04 1755
3111 하룻강아지 / 밥약 風文 2020.05.29 1757
3110 납작하다, 국가 사전을 다시? 주인장 2022.10.20 1759
3109 형용모순, 언어의 퇴보 風文 2022.07.14 1760
3108 美國 - 米國 / 3M 風文 2020.06.08 1765
3107 ‘~면서’, 정치와 은유(1): 전쟁 風文 2022.10.12 176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