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28 07:18

예비

조회 수 7743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예비

북녘말


“그저 지금 있는 로력만 가지고도 우리가 짜고든다면 많은 예비를 찾을수 있다.”(조선말대사전)

“우명표는 반신반의하면서 다음말을 재촉했다. “좋소! 아주 좋은 의견이요. 더 할수 있는 예비를 내놓으시오.””(장편소설·백양나무)

예비(豫備)는 남북에서 두루 쓰는 말인데, 한자 뜻 그대로 ‘미리 갖춤’이다. 그런데 북녘에서는 다른 뜻으로도 쓴다. 위의 예문에 쓰인 ‘예비’는 ‘가능성이나 능력’을 뜻한다. <조선말대사전>에서는 “재생산과정에 쓰이지 않고 있거나 효과적으로 쓰지 못하고있는 생산요소로서 생산을 늘이는데 동원리용할수 있는 가능성이나 능력”이라 풀이했다. ‘예비를 찾는다’고 하면, ‘아직 드러나지 않은 능력이나 가능성을 찾는다’는 뜻이다. ‘예비를 내놓으라’는 것은 ‘아직 드러내지 못한 능력을 발휘하라’는 뜻이다. ‘예비 자금, 예비 시험’ 등에 쓰인 ‘예비’는 ‘갖춰 놓은 것 또는 그런 준비’의 뜻이어서 좀 차이가 있다.

둘의 차이는 쓰임에서도 드러난다. 일반적으로 쓰이는 예비는 주로 명사 앞에 쓰이는데, ‘예비 자금’처럼 홀로 쓰이거나 ‘예비적’이란 형식으로 쓰인다. 또 ‘예비로 무엇을 하다’처럼 ‘예비로’ 식으로 쓰이거나 ‘예비를 하다, 예비나 하다’와 같이 ‘하다’ 앞에 쓰인다.

반면, 북녘말 ‘예비’는 ‘~를 찾다, ~를 얻어내다, ~를 동원하다, ~를 마련하다, ~를 짜내다, ~를 내다, ~를 마련하다, ~를 탐구하다, ~가 나오다’ 등과 같이 더 자유롭게 쓰인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75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40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221
3128 ‘시끄러워!’, 직연 風文 2022.10.25 1727
3127 전설의 마녀, 찌라시 / 지라시 風文 2020.06.16 1731
3126 ‘~스런’ 風文 2023.12.29 1731
3125 언어적 자해 風文 2022.02.06 1734
3124 풀어쓰기, 오촌 아재 風文 2022.10.08 1735
3123 멋지다 연진아, 멋지다 루카셴코 風文 2023.04.17 1736
3122 지명의 의의 風文 2021.11.15 1737
3121 울타리 표현, 끝없는 말 風文 2022.09.23 1737
3120 백열 / 풋닭곰 風文 2020.05.09 1740
3119 질척거리다, 마약 김밥 風文 2022.12.01 1742
3118 '넓다'와 '밟다' 風文 2023.12.06 1744
3117 되갚음 / 윤석열 風文 2020.05.19 1747
3116 ‘사흘’ 사태, 그래서 어쩌라고 風文 2022.08.21 1751
3115 '마징가 Z'와 'DMZ' 風文 2023.11.25 1753
3114 비는 오는 게 맞나, 현타 風文 2022.08.02 1754
3113 -분, 카울 風文 2020.05.14 1755
3112 한글의 약점, 가로쓰기 신문 風文 2022.06.24 1755
3111 ‘폭팔’과 ‘망말’ 風文 2024.01.04 1755
3110 하룻강아지 / 밥약 風文 2020.05.29 1757
3109 형용모순, 언어의 퇴보 風文 2022.07.14 1758
3108 납작하다, 국가 사전을 다시? 주인장 2022.10.20 1759
3107 ‘~면서’, 정치와 은유(1): 전쟁 風文 2022.10.12 176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