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24 06:21

위례성과 아리수

조회 수 8839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위례성과 아리수

백제시대 서울은 ‘위례성’이라 불렸다. <삼국사기> 백제 본기에서는 온조 임금이 하남 위례성에 도읍을 정했다는 기록이 나오며, ‘위례’는 때로 ‘욱리’(郁里), ‘아리’(阿利)로 불렸다. 이로부터 한강이 ‘욱리’ 또는 ‘아리’로 불리기도 하였다.

양주동은 <고가연구>에서 ‘아리’, ‘욱리’를 ‘하늘’의 고어인 ‘한 ㅂ·ㄹ’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 바 있다. 우리말에서 ‘ㅂ’은 입술가벼운소리[ㅸ]를 거쳐 탈락하는 경우가 많으니 ‘한ㅂ·ㄹ’이 ‘한ㅇ·ㄹ’ 곧 ‘하늘’로 변화하는 과정은 쉽게 짐작할 수 있다. ‘하늘’의 ‘한’은 ‘큰 것’을 뜻하는 말로 한강의 ‘한’도 그 뜻이 같다.

‘아리’가 ‘ㅂ·ㄹ’에서 비롯된 말이었을 가능성은 고구려의 수도인 국내성의 다른 이름에서도 확인된다. <삼국사기> 지리지에는 국내성의 다른 이름으로 ‘위나암성’ 또는 ‘불이성’이 있었음을 기록하고 있는데, ‘불이’는 ‘ㅂ·ㄹ’을 소리대로 표기한 것이며, ‘위나암’은 ‘위례’와 같은 꼴의 말이다. ‘ㅂ·ㄹ’은 ‘ㅇ·ㄹ’ 을 거쳐 ‘아리’, ‘위례’, ‘어리’, ‘오리’ 등의 다양한 땅이름으로 남는다. 호태왕비의 ‘어리성, 오리성, 야리성’이나 황해 봉산의 ‘오리포’, 그리고 ‘압록강’ 등도 이 말과 관련이 있다. ‘어리성’이나 ‘오리포’, ‘압록강’ 등이 ‘아리’에 한자말 ‘성’, ‘포’, ‘강’ 등이 붙은 말임을 고려한다면, ‘아리수’는 ‘아리’에 물을 뜻하는 ‘수’가 붙은 말임을 짐작할 수 있다.

‘아리수’가 서울의 수돗물 이름으로 되살아 난 것도 재미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00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54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520
3128 ‘시끄러워!’, 직연 風文 2022.10.25 1487
3127 떼려야 뗄 수 없는 인연 風文 2024.02.17 1487
3126 괄호, 소리 없는, 반격의 꿔바로우 風文 2022.08.03 1488
3125 말다듬기 위원회 / 불통 風文 2020.05.22 1490
3124 한국어의 위상 風文 2022.05.11 1492
3123 울타리 표현, 끝없는 말 風文 2022.09.23 1493
3122 표준말의 기강, 의미와 신뢰 風文 2022.06.30 1494
3121 방방곡곡 / 명량 風文 2020.06.04 1495
3120 비는 오는 게 맞나, 현타 風文 2022.08.02 1495
3119 정치의 유목화 風文 2022.01.29 1496
3118 단골 風文 2023.05.22 1499
3117 ‘개덥다’고? 風文 2023.11.24 1499
3116 ‘~면서’, 정치와 은유(1): 전쟁 風文 2022.10.12 1503
3115 웃어른/ 윗집/ 위층 風文 2024.03.26 1503
3114 인기척, 허하다 風文 2022.08.17 1504
3113 너무 風文 2023.04.24 1504
3112 지명의 의의 風文 2021.11.15 1505
3111 언어적 자해 風文 2022.02.06 1505
3110 헛스윙, 헛웃음, 헛기침의 쓸모 風文 2023.01.09 1507
3109 아이 위시 아파트 風文 2023.05.28 1509
3108 4·3과 제주어, 허버허버 風文 2022.09.15 1513
3107 한자를 몰라도 風文 2022.01.09 151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