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24 06:21

위례성과 아리수

조회 수 8795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위례성과 아리수

백제시대 서울은 ‘위례성’이라 불렸다. <삼국사기> 백제 본기에서는 온조 임금이 하남 위례성에 도읍을 정했다는 기록이 나오며, ‘위례’는 때로 ‘욱리’(郁里), ‘아리’(阿利)로 불렸다. 이로부터 한강이 ‘욱리’ 또는 ‘아리’로 불리기도 하였다.

양주동은 <고가연구>에서 ‘아리’, ‘욱리’를 ‘하늘’의 고어인 ‘한 ㅂ·ㄹ’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 바 있다. 우리말에서 ‘ㅂ’은 입술가벼운소리[ㅸ]를 거쳐 탈락하는 경우가 많으니 ‘한ㅂ·ㄹ’이 ‘한ㅇ·ㄹ’ 곧 ‘하늘’로 변화하는 과정은 쉽게 짐작할 수 있다. ‘하늘’의 ‘한’은 ‘큰 것’을 뜻하는 말로 한강의 ‘한’도 그 뜻이 같다.

‘아리’가 ‘ㅂ·ㄹ’에서 비롯된 말이었을 가능성은 고구려의 수도인 국내성의 다른 이름에서도 확인된다. <삼국사기> 지리지에는 국내성의 다른 이름으로 ‘위나암성’ 또는 ‘불이성’이 있었음을 기록하고 있는데, ‘불이’는 ‘ㅂ·ㄹ’을 소리대로 표기한 것이며, ‘위나암’은 ‘위례’와 같은 꼴의 말이다. ‘ㅂ·ㄹ’은 ‘ㅇ·ㄹ’ 을 거쳐 ‘아리’, ‘위례’, ‘어리’, ‘오리’ 등의 다양한 땅이름으로 남는다. 호태왕비의 ‘어리성, 오리성, 야리성’이나 황해 봉산의 ‘오리포’, 그리고 ‘압록강’ 등도 이 말과 관련이 있다. ‘어리성’이나 ‘오리포’, ‘압록강’ 등이 ‘아리’에 한자말 ‘성’, ‘포’, ‘강’ 등이 붙은 말임을 고려한다면, ‘아리수’는 ‘아리’에 물을 뜻하는 ‘수’가 붙은 말임을 짐작할 수 있다.

‘아리수’가 서울의 수돗물 이름으로 되살아 난 것도 재미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29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77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750
334 쑥돌·감돌·몽돌 바람의종 2008.05.08 10861
333 푸석수염 바람의종 2008.05.08 7873
332 보도자료 바람의종 2008.05.06 4339
331 소와리골 바람의종 2008.05.06 7115
330 벌개미취 바람의종 2008.05.05 6922
329 금덩이·은덩이 바람의종 2008.05.05 10502
328 갑작사랑 바람의종 2008.05.05 7320
327 떡값 바람의종 2008.05.03 6755
326 실레마을과 시루 바람의종 2008.05.03 7659
325 다정큼나무 바람의종 2008.05.01 8777
324 망이·망쇠 바람의종 2008.05.01 9419
323 갑작힘 바람의종 2008.04.30 8123
322 궂긴소식 바람의종 2008.04.30 8732
321 패수와 열수 바람의종 2008.04.29 10339
320 각시취 바람의종 2008.04.29 7178
319 터물·더믈 바람의종 2008.04.28 7909
318 예비 바람의종 2008.04.28 7567
317 모시는 글 바람의종 2008.04.27 17159
316 공암진 바람의종 2008.04.27 7643
315 솔체꽃 바람의종 2008.04.26 7682
314 오마대·기림대·오고타이 바람의종 2008.04.26 7654
313 설둥하다 바람의종 2008.04.25 702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