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09 16:28

밸과 마음

조회 수 8564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밸과 마음

‘밸’은 배알의 준말로, ‘창자’를 뜻한다. 또 ‘배짱’ 혹은 ‘속마음’을 일컫는다. 같은 뜻으로 쓰지만 실제 쓰임에서는 남북 차이가 있다. ‘배짱을 속되게 혹은 낮춰서 이른다’는 점에서는 남북이 같지만, 다른 뜻에서는 쓰임에 차이가 있다. 남녘에서는 ‘밸’을 ‘창자의 비속어’, ‘속마음의 낮춤말’로 쓰는데, 북녘에서는 비속어나 낮춤말로 쓰지 않는다. 다음에서 ‘밸’은 낮춤의 뜻 없이 ‘속마음’의 뜻으로 쓰였다.

“사실 지금 둘의 밸은 서로 다르다. 리인수는 어떻게 하든지 유족한 사람들끼리만 따로 모여서 조합을 조직해보려는것이 진심이지만 서기표의 진심은 그렇지 않다.”(석개울의 새봄)
“웃는 낯에 침을 못 뱉는다고 조봉애가 부드러우니 이 락후분자도 속밸과는 달리 말소리가 좀 순해졌다.”(축원)

또한, 북녘에서는 ‘밸’을 ‘노엽거나 분한 마음’의 뜻으로도 쓴다. 북녘에서는 ‘밸이 곤두서다, 밸이 동하다, 밸을 삭이다, 밸을 참다’ 등으로 쓴다. 반면, 남녘에서는 ‘밸이 뒤틀리다, 밸이 꼴리다’와 같이 동사와 함께 관용 표현으로 쓰인다. 이처럼 차이가 나게 된 원인은 ‘밸’이 북녘에서 많이 쓰이다가 ‘분한 마음’을 뜻하는 낱말로 정착했고, 남녘에서는 잘 쓰이지 않아서 관용 표현으로 남은 것으로 보인다.

‘속밸’은 ‘속에 품고 있는 비뚤어진 마음씨’를 뜻한다. ‘똥밸’은 ‘조금도 굽히지 않고 버티는 성미’를 속되게 이르는 말이다. ‘젖밸, 울뚝밸’은 남북이 같이 쓴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92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56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390
3150 국어 영역 / 애정 행각 風文 2020.06.15 1701
3149 성인의 세계 風文 2022.05.10 1701
3148 괄호, 소리 없는, 반격의 꿔바로우 風文 2022.08.03 1702
3147 ‘이고세’와 ‘푸르지오’ 風文 2023.12.30 1703
3146 호언장담 風文 2022.05.09 1707
3145 콩글리시 風文 2022.05.18 1707
3144 국가의 목소리 風文 2023.02.06 1708
3143 만인의 ‘씨’(2) / 하퀴벌레, 하퀴벌레…바퀴벌레만도 못한 혐오를 곱씹으며 風文 2022.11.18 1710
3142 ‘부끄부끄’ ‘쓰담쓰담’ 風文 2023.06.02 1710
3141 성적이 수치스럽다고? 風文 2023.11.10 1710
3140 배운 게 도둑질 / 부정문의 논리 風文 2023.10.18 1712
3139 지도자의 화법 風文 2022.01.15 1718
3138 북한의 ‘한글날’ 風文 2024.01.06 1719
3137 ‘웃기고 있네’와 ‘웃기고 자빠졌네’, ‘-도’와 나머지 風文 2022.12.06 1721
3136 개양귀비 風文 2023.04.25 1721
3135 ‘파바’와 ‘롯리’ 風文 2023.06.16 1721
3134 8월의 크리스마스 / 땅꺼짐 風文 2020.06.06 1723
3133 단골 風文 2023.05.22 1724
3132 ‘시끄러워!’, 직연 風文 2022.10.25 1727
3131 아이 위시 아파트 風文 2023.05.28 1729
3130 노랗다와 달다, 없다 風文 2022.07.29 1730
3129 ‘건강한’ 페미니즘, 몸짓의 언어학 風文 2022.09.24 173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