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05 10:37

한내와 가린내

조회 수 9255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내와 가린내

<열녀춘향수절가>에는 암행어사 이몽룡이 전라도 초읍인 여산에서 일행을 세 갈래로 나누어 떠나보내는 장면이 나온다. 한 갈래는 진산·금산·무주·용담·진안·장수·운봉·구례로 돌아드는 서리패들의 전라 좌도고, 또 한 갈래는 용안·함열·임피·옥구·김제·만경·고부·부안·흥덕·고창·장성 등을 거치는 중방 역졸패의 우도다. 그리고 한 패는 종사들로 익산·금구·태인·정읍·순창·옥과·광주·나주·창평 등지를 거치도록 하였다. 자신은 헌 파립과 망건을 의뭉하게 차리고 삼례를 거쳐 완산 팔경을 구경하며 남원으로 내려간다.

그런데 암행어사가 거쳐 간 땅이름 가운데 “한내 쥬엽졩이, 가린내 싱금졍, 숩졍이, 공북누”가 있다. 얼핏 보기에는 쥬엽졩이, 싱금졍, 숩졍이도 땅이름처럼 보이나 이들은 ‘공북누’와 함께 정자이거나 누각임이 틀림없다. 흥미로운 것은 여기 나오는 ‘한내’와 ‘가린내’다. ‘한내’는 ‘크다’의 뜻을 지닌 ‘한’에 ‘내’가 붙은 말로 ‘대천’에 해당한다. 지금의 대천은 충남 보령이므로 춘향가에 나오는 대천과는 관련이 없다. 달리 말해 ‘큰 내’를 뜻하는 ‘한내’도 보편적으로 널리 쓰인 땅이름이다.

‘가린내’는 ‘한내’와는 대립적인 뜻을 갖는 말이다. 이 말은 ‘가늘다’의 다른 형태인 ‘가ㄹ.다’(‘가루’의 어원)에 ‘내’가 붙은 말이다. 곧 ‘가는내’ 또는 ‘가ㄹ.ㄴ내’에 해당하는 셈이다. 이런 뜻의 ‘가린내’는 제주도 한림읍 금악리에도 있다. 비슷한 형태로 좁고 가는 골짜기를 뜻하는 ‘가는골’도 산골 마을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51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97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029
3172 소태와 소도 바람의종 2008.03.27 7878
3171 짝벗 사이 바람의종 2008.03.28 7432
3170 바쁘다 바람의종 2008.03.28 5700
3169 자주꽃방망이 바람의종 2008.03.29 7912
3168 짝벗 일컫기 바람의종 2008.03.29 6994
3167 도라산역 바람의종 2008.03.29 5730
3166 방조하다 바람의종 2008.03.30 7289
3165 무궁화 바람의종 2008.03.30 5856
3164 명량·울돌목 바람의종 2008.03.30 7041
3163 오누이 바람의종 2008.03.31 7914
3162 직통생 바람의종 2008.03.31 7131
3161 가야와 가라홀 바람의종 2008.04.01 7033
3160 서방과 사위 바람의종 2008.04.01 7964
3159 마라초 바람의종 2008.04.01 6217
3158 맥문동 바람의종 2008.04.02 6333
3157 무너미·목넘이 바람의종 2008.04.03 6715
3156 선과 청혼 바람의종 2008.04.03 6581
3155 거꿀반명제 바람의종 2008.04.04 6151
» 한내와 가린내 바람의종 2008.04.05 9255
3153 해오라기난초 바람의종 2008.04.05 8378
3152 이름 부르기 바람의종 2008.04.06 7283
3151 안겨오다 바람의종 2008.04.06 723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