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30 04:28

무궁화

조회 수 5858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무궁화

지난 7월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높이 7.5미터나 나가는 무궁화나무가 강원도 홍천에서 발견되었다. 국립산림과학원 쪽은 나무 나이를 100년 정도로 추정한다.

‘무궁화’는 ‘목근화’(木槿花)라고도 한다. 한자 어휘집〈역어유해〉(1690)에는 ‘木槿花 무긴화/뭏긴화 ○ 무궁화’로 올렸는데, 목근화의 당시 중국음 [무긴화](현재는 무진화)와 비슷한 소리인 ‘무궁’(無窮)이란 한자를 만나면서 ‘무궁화’로 명명된 것으로 본다. 먼저 핀 꽃이 떨어지면 새로운 꽃이 이어 100일쯤이나 거듭 피고 지는 성질이 있어 붙은 이름이다. 고조선 때도 이 땅에 무궁화나무가 무척 많았다는 역사 기록이 있는 것을 보면 오랜 옛적부터 우리나라에 자생해 왔음을 알 수 있다. 영원무궁이라는 겨레의 바람과도 잘 맞는 까닭에 국기가 제정되면서 국기봉을 무궁화 꽃봉오리로 정했고, 나라꽃이 됐으며, 정부의 표장으로도 삼는다.

기차 이름에서 새마을·무궁화·통일호란 등급이 거꾸로 된 게 아닐까 생각했는데, 고속철도가 나오면서 통일호는 사라졌다. 좋은 호텔이 무궁화 개수로 표시되고, 그 꽃이 장교 계급장 바탕으로 쓰이는 등 그 상징성이 곳곳에 살아 있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사진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57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08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112
290 밸과 마음 바람의종 2008.04.09 8347
289 일터 말 바람의종 2008.04.08 9444
288 ‘고마미지’와 ‘강진’ 바람의종 2008.04.08 8122
287 산오이풀 바람의종 2008.04.07 7054
286 안겨오다 바람의종 2008.04.06 7232
285 이름 부르기 바람의종 2008.04.06 7283
284 해오라기난초 바람의종 2008.04.05 8380
283 한내와 가린내 바람의종 2008.04.05 9259
282 거꿀반명제 바람의종 2008.04.04 6151
281 선과 청혼 바람의종 2008.04.03 6582
280 무너미·목넘이 바람의종 2008.04.03 6715
279 맥문동 바람의종 2008.04.02 6334
278 마라초 바람의종 2008.04.01 6219
277 서방과 사위 바람의종 2008.04.01 7967
276 가야와 가라홀 바람의종 2008.04.01 7033
275 직통생 바람의종 2008.03.31 7131
274 오누이 바람의종 2008.03.31 7914
273 명량·울돌목 바람의종 2008.03.30 7041
» 무궁화 바람의종 2008.03.30 5858
271 방조하다 바람의종 2008.03.30 7289
270 도라산역 바람의종 2008.03.29 5730
269 짝벗 일컫기 바람의종 2008.03.29 699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