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0 02:35

진고개와 긴고개

조회 수 7766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진고개와 긴고개

얼마 전 독자 한 분이 전화를 주셨다. 그분의 말씀은 서울 중구의 ‘이현’(泥峴)이 ‘진고개’인데, 이 고개 이름은 ‘길다’에서 온 말 아니냐는 말씀이었다. 땅이름 변화 과정에서 우리말의 특성이 반영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박형상 변호사님 말처럼 ‘진고개’는 질척질척한 ‘진흙’(泥) 고개가 아니라 ‘기다랗다’는 ‘긴 고개’에서 온 말이다. 우리말에서 ‘ㄱ’이 ‘ㅈ’으로 변화하는 현상은 전국적으로 나타난다. ‘기름’이 ‘지름’으로, ‘길’이 ‘질’로, ‘깁다’가 ‘집다’ 따위로 소리난다. 전남 장흥의 ‘이동’(泥洞)이 ‘진골, 진골목’으로 불리는 것이나 강원도의 여러 ‘진부령’이 구불구불한 긴 고개를 뜻하는 것은 ‘길다’가 ‘질다’로 바뀌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처럼 사람이 지나는 길이나 고개·섬 등에 ‘길다’가 붙어 형성된 땅이름은 숱하다. 전남 영암의 ‘진섬’은 ‘긴섬’이다. 이 섬은 ‘지네섬’이라고 불린 적도 있는데, ‘길다’의 다른 형태일 뿐이지 동물인 ‘지네’와는 상관이 없다. 작은 마을을 뜻하는 ‘지단말’이나 ‘지뎀말’ 등도 ‘길다’의 고장말인 ‘지다랗다’, ‘지뎀하다’가 붙어 형성된 이름들이다. ‘지다랗다’는 전국적인 분포를 보이는 말이며, ‘지뎀하다’ 또는 ‘지덴하다’는 최학근의 <전라남도방언연구>(1962)에 나타나듯이 전라 방언이다.

이처럼 땅이름의 이형태를 살피면 우리말 땅이름이 한자말로 옮겨지는 과정에서 의미가 엉뚱한 말로 변한 것들이 많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66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32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053
3194 영어 공용어화 風文 2022.05.12 1644
3193 쌤, 일부러 틀린 말 風文 2022.07.01 1644
3192 방언의 힘 風文 2021.11.02 1647
3191 ○○노조 風文 2022.12.26 1648
3190 남과 북의 협력 風文 2022.04.28 1649
3189 위탁모, 땅거미 風文 2020.05.07 1650
3188 기림비 2 / 오른쪽 風文 2020.06.02 1653
3187 주권자의 외침 風文 2022.01.13 1654
3186 '바치다'와 '받치다' file 風文 2023.01.04 1654
3185 우방과 동맹, 손주 風文 2022.07.05 1655
3184 공적인 말하기 風文 2021.12.01 1661
3183 ‘맞다’와 ‘맞는다’, 이름 바꾸기 風文 2022.09.11 1663
3182 무술과 글쓰기, 아버지의 글쓰기 風文 2022.09.29 1666
3181 “힘 빼”, 작은, 하찮은 風文 2022.10.26 1666
3180 질문들, 정재환님께 답함 風文 2022.09.14 1667
3179 통속어 활용법 風文 2022.01.28 1668
3178 드라이브 스루 風文 2023.12.05 1673
3177 뒤치다꺼리 風文 2023.12.29 1673
3176 한글의 역설, 말을 고치려면 風文 2022.08.19 1675
3175 보편적 호칭, 번역 정본 風文 2022.05.26 1677
3174 한 두름, 한 손 風文 2024.01.02 1679
3173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68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