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18 01:45

빌레와 바위

조회 수 7211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빌레와 바위

제주의 땅이름 형태는 뭍과 다른 점이 많다. ‘빌레’는 제주말로 ‘너럭바위’를 뜻한다. 남제주 대정 지역의 ‘넙은빌레·빌레못·답단빌레’ 등은 너럭바위에서 나온 이름이다. 이 ‘빌레’의 표준형은 ‘별내’다. 별내는 비탈을 뜻하는 ‘별’에 ‘장소’ 또는 ‘물’을 뜻하는 ‘내’가 합쳐 된 말이다. 제주에서만 ‘빌레’가 나타나 낯선 땅이름처럼 보인다.

땅이름 변화에는 지역에 따른 말소리 차이가 큰 영향을 끼친다. 고개를 뜻하는 ‘모르’나 ‘머르’, 바다 쪽으로 길게 뻗어 나온 뭍을 뜻하는 ‘고지·코지’와 같은 말들도 받침이 없는 형태인데, 이는 제주말의 소리마디에 받침을 잘 안 쓰거나 유성음을 많이 쓰는 경향과도 관련이 있는 듯하다. 그렇기에 제주 방언에는 ‘르·앙·엉’으로 끝나는 명사가 많다. 또 뭍과 교류가 활발하지 못했던 탓에 이 지역 말에는 옛말이 많이 남아 있는 것도 특징이다.

비탈의 ‘별’과 낭떠러지의 ‘낭’이 합쳐져 ‘벼랑’을 이루듯, 비탈진 곳의 바위만을 별도로 ‘빌레’라고 부른 것은 땅이름의 지리적인 특성을 반영하는 셈이다. 제주에서 빌레와 바위는 유의어로 쓰이는데, 바위는 간혹 ‘방구·방귀’로 불리기도 한다. 바위가 많은 마을인 남원읍 신흥리는 ‘방구령’이라고 불렸다. 이 말은 생리현상인 방귀를 연상하게 하므로, 한자 표기에 거북 구를 쓰다가, 아예 신흥리라는 전혀 다른 이름으로 바꿨다. 마을 서남쪽에 앞빌레가 서 있는데도 생소한 땅이름이 만들어지는 원리를 보여준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93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54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231
268 영어의 힘 風文 2022.05.12 1520
267 영어 공용어화 風文 2022.05.12 1718
266 왜 벌써 절망합니까 - 8. 내일을 향해 모험하라 風文 2022.05.12 1465
265 외국어 선택, 다언어 사회 風文 2022.05.16 1410
264 영어 절대평가 風文 2022.05.17 1429
263 외국어 선택하기 風文 2022.05.17 1332
262 왜 벌써 절망합니까 - 8. 미래를 창조하는 미래 風文 2022.05.17 1504
261 콩글리시 風文 2022.05.18 1839
260 혼성어 風文 2022.05.18 1883
259 귀순과 의거 관리자 2022.05.20 1316
258 말과 상거래 風文 2022.05.20 1512
257 과잉 수정 風文 2022.05.23 1601
256 날씨와 인사 風文 2022.05.23 1546
255 왜 벌써 절망합니까 - 훼방만 말아 달라 風文 2022.05.23 1404
254 막장 발언, 연변의 인사말 風文 2022.05.25 1527
253 보편적 호칭, 번역 정본 風文 2022.05.26 1755
252 왜 벌써 절망합니까 - 벤처대부는 나의 소망 風文 2022.05.26 1653
251 북혐 프레임, 인사시키기 風文 2022.05.30 1485
250 올림픽 담론, 분단의 어휘 風文 2022.05.31 1596
249 경평 축구, 말과 동작 風文 2022.06.01 1547
248 대화의 어려움, 칭찬하기 風文 2022.06.02 1803
247 비대칭적 반말, 가짜 정보 風文 2022.06.07 151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