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04 03:34

한라산과 두무산

조회 수 9683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라산과 두무산 / 허재영

<세종실록지리지>나 <동국여지승람>에는 ‘한라산’의 다른 이름이 ‘두무산’이었다는 기록이 나온다. 이정구의 <사천년문헌통고>에서도 “한라산은 가히 은하수를 더위잡을 수 있으므로 그 이름이 붙었으며, 봉우리가 모두 평평하고 둥근데 연못이 있어 마치 가마솥과 같은 까닭에 부산(釜山)이라 한다”고 했다. 가마를 뜻하는 ‘부’(釜)는 ‘두무’라기도 하는데, 이로 말미암아 한라산은 ‘부산’ 또는 ‘두무산’이라 부르기도 했다. 이처럼 ‘두무’가 든 땅이름은 매우 많다. ‘두무실’, ‘두뭇골’과 같은 마을 이름이 있고, ‘두무개’처럼 고개를 뜻하는 경우도 있다.

‘두무’의 말밑은 ‘둥근’이란 뜻의 ‘둠’이다. ‘돔’ 또는 ‘도마’로도 쓰이는데, ‘돔골’, ‘도마치’에 나타나는 ‘돔’과 ‘도마’가 이에 해당한다. 한라산의 모습이 평평하고 둥글기에 두무산이라고 했듯, 두무실이나 두뭇골은 모두 마을이 평평하고 둥그렇다. 이처럼 둥글고 평평한 뜻을 갖는 다른 이름으로 ‘두류’ 또는 ‘두륜’이 있다. 지리산의 다른 이름인 ‘두류산’이나 해남의 ‘두륜산’은 모두 둥근 모습의 산인 셈이다.

땅이름에 스며든 ‘두류’와 ‘두륜’은 ‘둥근’의 뜻을 갖는 ‘두렷다’에서 온 말이며, ‘두무’는 ‘두르다’의 이름꼴이라 볼 수 있다. 그런데 ‘두무’가 ‘도마’로 쓰이거나 ‘두메’로 쓰이게 되면 그 뜻이 어원과 멀어진 것처럼 생각된다. 그러나 ‘두메산골’도 산간 분지의 마을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두무’가 녹아든 말임을 알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58915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20395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16Mar
    by 바람의종
    2008/03/16 by 바람의종
    Views 8602 

    촌수

  5. No Image 16Mar
    by 바람의종
    2008/03/16 by 바람의종
    Views 8118 

    삿갓봉과 관악산

  6. No Image 16Mar
    by 바람의종
    2008/03/16 by 바람의종
    Views 7953 

    매발톱꽃

  7. No Image 15Mar
    by 바람의종
    2008/03/15 by 바람의종
    Views 7659 

    가시집

  8. No Image 15Mar
    by 바람의종
    2008/03/15 by 바람의종
    Views 8942 

    전농동과 설렁탕

  9. 파리지옥풀

  10. No Image 14Mar
    by 바람의종
    2008/03/14 by 바람의종
    Views 9196 

    얼음보숭이·에스키모

  11. No Image 13Mar
    by 바람의종
    2008/03/13 by 바람의종
    Views 9965 

    수진이 고개

  12. No Image 13Mar
    by 바람의종
    2008/03/13 by 바람의종
    Views 7740 

    결속

  13. No Image 12Mar
    by 바람의종
    2008/03/12 by 바람의종
    Views 9427 

    한터와 자갈치

  14. No Image 12Mar
    by 바람의종
    2008/03/12 by 바람의종
    Views 7234 

    은방울꽃

  15. No Image 11Mar
    by 바람의종
    2008/03/11 by 바람의종
    Views 7049 

    그닥

  16. No Image 10Mar
    by 바람의종
    2008/03/10 by 바람의종
    Views 5792 

    사위질빵

  17. No Image 07Mar
    by 바람의종
    2008/03/07 by 바람의종
    Views 9272 

    넋살탕

  18. No Image 07Mar
    by 바람의종
    2008/03/07 by 바람의종
    Views 9771 

    우리말의 짜임새와 뿌리

  19. No Image 07Mar
    by 바람의종
    2008/03/07 by 바람의종
    Views 6481 

    도내와 섬안

  20. No Image 06Mar
    by 바람의종
    2008/03/06 by 바람의종
    Views 7489 

    깽깽이풀

  21. No Image 06Mar
    by 바람의종
    2008/03/06 by 바람의종
    Views 7350 

    메다와 지다

  22. No Image 04Mar
    by 바람의종
    2008/03/04 by 바람의종
    Views 10205 

    여우잠

  23. No Image 04Mar
    by 바람의종
    2008/03/04 by 바람의종
    Views 12701 

    튀기말, 피진과 크레올

  24. No Image 04Mar
    by 바람의종
    2008/03/04 by 바람의종
    Views 9683 

    한라산과 두무산

  25. No Image 01Mar
    by 바람의종
    2008/03/01 by 바람의종
    Views 6642 

    괭이눈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