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29 07:17

새라새롭다

조회 수 9450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새라새롭다

‘새라새롭다’는 ‘새롭고 새롭다’ 혹은 ‘여러 가지로 새롭다’는 뜻의 그림씨(형용사)다.

“강세호는 새라새로운 소식을 주어 대는 두칠의 말에 얼떨떨했다.”(415 문학창작단 ‘백두산 기슭’) “그가 전혀 알지 못하던 새라새로운 세계가 펼쳐졌다.”(조선말대사전)

뜻풀이에서도 짐작이 되지만 ‘새라새롭다’는 ‘새롭다’와 ‘새롭다’가 결합된 말이다. 앞에 결합된 ‘새롭-’이 ‘새라’로 변했다. 이렇게 말이 반복된 말로 ‘가늘디가늘다, 높디높다, 쓰디쓰다’ 들이 있는데, 이 방식을 ‘새롭다’에 적용해 보면 ‘새롭디새롭다’가 된다. ‘새라새롭다’와 같은 방식은 그리 익숙하지는 않지만 유용한 것으로 보인다. 낱말의 음절 수가 많아지면 쓰기에 불편하기 때문이다. ‘새롭다’의 반복이 ‘새롭 새롭다’나 ‘새로새롭다’로 되지 않은 까닭은 무엇일까? ‘새롭새롭다’는 발음의 불편함, ‘새로새롭다’는 부사 ‘새로’가 연상되는 문제 등이 아니었을까 짐작해 본다.

말을 반복해서 쓰는 것은 ‘빨리빨리’와 같이 어찌말에서 더 활발한데, 그림씨에서도 어간 반복을 널리 쓴다면, 토박이말 그림씨의 조어력을 한층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새라새롭다’의 방식은 ‘-롭다’로 끝나는 형용사를 활용하는 데 유용하다. ‘새롭다’와 비슷한 짜임을 가진 말로 ‘괴롭다·외롭다·의롭다·이롭다’ 등이 있다. 이들 말을 반복하여 새말로 만들어서 ‘괴라괴롭다, 외라외롭다’ 식으로 써 보면 어떨까?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21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73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665
3216 빛깔말 바람의종 2008.02.28 7093
3215 동남아 언어 바람의종 2008.02.29 7500
» 새라새롭다 바람의종 2008.02.29 9450
3213 밑과 아래 바람의종 2008.03.01 7506
3212 괭이눈 바람의종 2008.03.01 6525
3211 한라산과 두무산 바람의종 2008.03.04 9467
3210 튀기말, 피진과 크레올 바람의종 2008.03.04 12481
3209 여우잠 바람의종 2008.03.04 10051
3208 메다와 지다 바람의종 2008.03.06 7241
3207 깽깽이풀 바람의종 2008.03.06 7336
3206 도내와 섬안 바람의종 2008.03.07 6360
3205 우리말의 짜임새와 뿌리 바람의종 2008.03.07 9604
3204 넋살탕 바람의종 2008.03.07 9121
3203 사위질빵 바람의종 2008.03.10 5643
3202 그닥 바람의종 2008.03.11 6948
3201 은방울꽃 바람의종 2008.03.12 7131
3200 한터와 자갈치 바람의종 2008.03.12 9150
3199 결속 바람의종 2008.03.13 7595
3198 수진이 고개 바람의종 2008.03.13 9833
3197 얼음보숭이·에스키모 바람의종 2008.03.14 9079
3196 파리지옥풀 바람의종 2008.03.15 9017
3195 전농동과 설렁탕 바람의종 2008.03.15 883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