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27 01:21

맑다와 밝다

조회 수 6895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맑다와 밝다

‘맑다’는 ‘흐리다’와 서로 짝을 이루어 맞서고, ‘밝다’는 ‘어둡다’와 서로 짝을 이루어 맞선다. 그러면서 ‘맑다’와 ‘흐리다’는 하늘이 만든 사물과 사람이 만든 사실에 쓰는 그림씨 낱말이고, ‘밝다’와 ‘어둡다’는 하늘이 만들었거나 사람이 만들었거나 따질 것 없이 빛살에 말미암아 쓰는 그림씨 낱말이다.

샘물이 맑거나 흐리고, 하늘이 맑거나 흐리고, 단풍 빛깔이 맑거나 흐리고, 공기가 맑거나 흐리거나 하는 것은 하늘이 만든 사물을 두고 쓰는 보기다. 그리고 마음이 맑거나 흐리고, 목소리가 맑거나 흐리고, 생각이 맑거나 흐리고, 살림살이가 맑거나 흐리다고 하는 것은 사람이 만든 사실을 두고 쓰는 보기다.

한편, 새벽이 되면 동녘이 밝아오고 저녁이 되면 산그늘이 내리면서 세상이 어두워진다고 하는 것은 하늘이 만든 해의 빛살에 말미암아 쓰는 보기이며, 보름에 가까워지면 밤이 휘영청 밝아지고 그믐에 가까워지면 밤이 깜깜하게 어두워진다고 하는 것은 하늘이 만든 달의 빛살에 따라 쓰는 보기다. 그리고 등불이 밝거나 어둡고, 횃불이 밝거나 어둡고, 옷감의 빛깔이 밝거나 어둡고, 그림의 물감이 밝거나 어두운 것은 사람이 만든 빛살에 따라 쓰는 보기다. 거기서부터 ‘밝다’와 ‘어둡다’는 빛살로 말미암아 빚어지는 사람살이에까지 쓰임새가 널리 퍼져 나왔다. 눈이 밝거나 어둡고, 귀가 밝거나 어둡고, 사리가 밝거나 어둡고, 예의가 밝거나 어둡고, 물정에 밝거나 어두운 것들이 모두 그런 보기들이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59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23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207
246 선달 바람의종 2007.07.23 8646
245 상극 바람의종 2007.07.20 6235
244 삼우제 바람의종 2007.07.20 10746
243 산전수전 바람의종 2007.07.19 8429
242 사주 바람의종 2007.07.19 9096
241 사족 바람의종 2007.07.18 6359
240 사이비 바람의종 2007.07.18 7340
239 불한당 바람의종 2007.07.17 7500
238 불우 바람의종 2007.07.17 5899
237 불야성 바람의종 2007.07.16 6332
236 복불복 바람의종 2007.07.16 8040
235 복마전 바람의종 2007.07.14 6336
234 보필 바람의종 2007.07.14 7230
233 보모 바람의종 2007.07.13 7101
232 보루 바람의종 2007.07.13 5646
231 백정 바람의종 2007.07.11 6487
230 백전백승 바람의종 2007.07.11 6250
229 백안시 바람의종 2007.07.10 7628
228 백수 바람의종 2007.07.10 6204
227 백성 바람의종 2007.07.09 9123
226 백서 바람의종 2007.07.09 5438
225 백병전 바람의종 2007.07.08 614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