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22 20:45

누겁다/ 서겁다

조회 수 7100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누겁다/ 서겁다

‘누겁다’는 ‘눅눅한 느낌이 있다’는 뜻이고, ‘서겁다’는 ‘섭섭한 느낌이 있다’는 뜻이다.

“장마철이여서인지 방안이 누거웠다.”(조선말대사전) “오뉴월 겨불도 쬐다나면 서겁다, 짚불도 쬐다나면 서겁다.(우리말글쓰기 연관어대사전)

‘누겁다’와 ‘서겁다’는 ‘눅눅하다’와 ‘섭섭하다’에서 왔다. ‘눅눅하다’에서 ‘눅-’을 취하고, ‘어떤 느낌이 있다’는 뜻을 더하는 ‘-겁’을 결합한 것이다. ‘섭섭하다’도 마찬가지다. ‘눅겁다’에서 ‘누겁다’로, ‘섭겁다’에서 ‘서겁다’로 변한 것은 소리를 쉽게 내고자 함인 것으로 보인다. 남북이 같이 쓰는 ‘차갑다/ 헐겁다’를 보면 보통 ‘차다/ 헐다’처럼 한 음절의 형용사에 ‘-겁’이 결합되는 것으로 보이는데, ‘누겁다/ 서겁다’는 두 음절 형용사의 음절 하나만 취했다. 또 ‘누겁다/ 서겁다’는 남녘의 사전은 물론, 방언에서도 확인되지 않는다. 이런 측면에서 ‘누겁다/ 서겁다’는 북녘에서 만든 말이 아닐까 싶다. 그렇다면 ‘-겁’이 형용사 어간에 결합되고, 하나의 음절에만 결합된다는 규칙을 찾을 수 있고, 그 규칙에 맞게 말을 만들었다는 점과 이 말의 뜻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쉽다는 점에서 볼 때 잘 만든 말로 여겨진다.

같은 방식으로 ‘~겁다’붙이 형용사를 만들어 볼 수도 있겠다. ‘분분하다’에서 ‘분겁하다’를 만들고 ‘(의견이) 분분한 듯하다’는 뜻으로 쓰고, ‘딱딱하다’에서 ‘딱갑다’를 만들고 ‘딱딱한 느낌이 있다’의 뜻으로 쓸 수도 있겠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54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04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005
3238 말끝이 당신이다, 고급 말싸움법 風文 2022.07.19 1298
3237 어떻게 토론할까, 질문 안 할 책임 風文 2022.07.24 1298
3236 자막의 질주, 당선자 대 당선인 風文 2022.10.17 1298
3235 말로 하는 정치 風文 2022.01.21 1300
3234 우리와 외국인, 글자 즐기기 風文 2022.06.17 1300
3233 주현씨가 말했다 風文 2023.11.21 1300
3232 깻잎 / 기림비 1 風文 2020.06.01 1302
3231 태극 전사들 風文 2022.01.29 1303
3230 귀 잡수시다? 風文 2023.11.11 1303
3229 경텃절몽구리아들 / 모이 風文 2020.05.24 1305
3228 있다가, 이따가 風文 2024.01.03 1308
3227 세로드립 風文 2021.10.15 1309
3226 기역 대신 ‘기윽’은 어떨까, 가르치기도 편한데 風文 2023.11.14 1311
3225 대통령과 책방 風文 2023.05.12 1312
3224 돼지의 울음소리, 말 같지 않은 소리 風文 2022.07.20 1316
3223 말의 평가절하 관리자 2022.01.31 1317
3222 ‘이고세’와 ‘푸르지오’ 風文 2023.12.30 1317
3221 언어적 적폐 風文 2022.02.08 1318
3220 새말과 소통, 국어공부 성찰 風文 2022.02.13 1318
3219 쌤, 일부러 틀린 말 風文 2022.07.01 1318
3218 한글의 역설, 말을 고치려면 風文 2022.08.19 1318
3217 유신의 추억 風文 2021.11.15 131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