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8326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오스트로네시아 말겨레

태평양 넓은 지역에 흩어져 쓰이고 있는 일천여 언어들은 오스트로네시아 말겨레에 든다. 아프리카 동쪽 인도양에 있는 마다가스카르섬에서부터 남태평양의 동쪽 끝 이스터섬에 이르는 지역에 2억7천만 명 정도가 쓰고 있다. 한때는 말레이-폴리네시아 말겨레라 부르기도 하였다. 이 말겨레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큰 말이 말레이말인데,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싱가포르·브루나이 등 네 나라와 그 이웃지역에서 2억 명 이상이 사용한다. 말레이시아말과 인도네시아말은 물론 같은 말레이말이지만, 요즘 들어 낱말이나 문법구조에서 약간 차이가 있다.

오스트로네시아 말겨레에 드는 몇몇 말을 살펴보자. 필리핀은 지금 영어를 주로 쓰지만, 그들의 토박이말은 오스트로네시아 말겨레에 든다. 그 가운데 대표적인 것이 타갈로그말인데, 영어와 함께 필리핀의 공용어이며, 현재 필리핀 학교교육에서 강조하고 있다. 뉴질랜드 하면 우리는 마오리족을 떠올린다. 이들이 쓰는 마오리말은 뉴질랜드의 토박이말로서 지금도 십만 명 가까이 쓰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비바람이 치던 바다’로 시작하는〈연가〉라는 노래로 잘 알려진 ‘po karekare ana’는 바로 마오리말로 된 노래다.

태평양 한복판에 있는 하와이섬에서 쓰이는 토박이말이 하와이말이다. 이천 명 정도가 영어와 함께 사용하고 있다. 하와이말은 다른 오스트로네시아말처럼 말소리가 매우 단순하다. 홀소리는 다섯 가지만 있고, 닿소리는 h, k, l, m, n, p, w만 있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29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77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746
3238 끌끌하다 바람의종 2008.02.16 9710
3237 굿 바람의종 2008.02.17 7957
3236 호태왕비 바람의종 2008.02.17 8989
3235 라틴아메리카 언어 바람의종 2008.02.18 9515
3234 남새 바람의종 2008.02.18 6645
3233 한글과 우리말 바람의종 2008.02.19 7278
3232 원추리 바람의종 2008.02.19 6198
3231 엄리대수와 아시 바람의종 2008.02.20 8212
3230 아메리카 토박이말 바람의종 2008.02.20 7979
3229 쓰겁다 바람의종 2008.02.20 11070
3228 슬기와 설미 바람의종 2008.02.21 8615
3227 애기똥풀 바람의종 2008.02.21 6112
3226 큰 바위 바람의종 2008.02.22 7774
» 오스트로네시아 말겨레 바람의종 2008.02.22 8326
3224 누겁다/ 서겁다 바람의종 2008.02.22 7081
3223 뜰과 마당 바람의종 2008.02.23 7493
3222 꽃다지 바람의종 2008.02.23 7794
3221 난친이 바위 바람의종 2008.02.24 7216
3220 중국의 언어 바람의종 2008.02.24 10385
3219 재개비 바람의종 2008.02.25 7117
3218 맑다와 밝다 바람의종 2008.02.27 6822
3217 이팝나무 바람의종 2008.02.27 1136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