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21 15:47

애기똥풀

조회 수 6112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애기똥풀

풀꽃이름에 ‘똥/오줌’이 붙는 것은 좀 심하다 싶지만, ‘애기똥풀’은 줄기를 꺾으면 노란색 젖 같은 액즙이 나오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또한 오뉴월에 꽃이 피는데, 노란 꽃잎 넉 장이 붙어 있는 작은 꽃모양도 예쁘게 싸 놓은 애기똥을 연상시킨다. ‘젖풀/ 씨아똥/ 까치다리’라고도 부른다.

한자말로는 ‘백굴채’(白屈菜)라고 하여 배가 아플 때 진통제로 쓰거나 짓무른 살갗에 발랐는데, 시골에서 자란 사람은 젖풀을 바르면 사마귀가 줄어든다는 말도 들어봤을 것이다. 요즘 들어 음식이나 새집증후군 따위 갖가지 환경문제로 말미암아 ‘아토피’란 병증이 극성을 부리는데, 이 풀이 치료재로 환영을 받고 있다고 한다. 애기들의 아토피를 치료하는 데 이 풀이 긴요하게 쓰이는 것을 보면 이름을 붙인 옛 어른들이 선견지명이 있는 것도 같다.

시골 동네 어디서나 볼 수 있는 꽃이지만 우리가 관심도 없던 풀꽃이어서 동화에도 자주 등장하는 풀이름이다. 시 소재로도 흔히 쓰인다. “‘나 서른다섯 될 때까지/ 애기똥풀 모르고 살았지요/ 해마다 어김없이 봄날 돌아올 때마다/ 그들은 내 얼굴 쳐다보았을 텐데요.”(안도현 ‘애기똥풀’) 하찮은 것 같아도 당당하다고 노래한다. “시궁창 물가에 서서도/ 앙증스레 꽃 피워 문/ 애기똥풀 보아라/ 어디 연꽃만이 연꽃이겠느냐.”(복효근 ‘애기똥풀꽃’) 그렇다. 장미나 백합만 꽃이 아니고, 애기똥풀이나 할미꽃의 아름다움마저 깨닫게 되는 것이 철들고 나이 드는 것의 소중함 아닐까.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애기똥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11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65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571
3238 반동과 리액션 風文 2023.11.25 1236
3237 한글의 역설, 말을 고치려면 風文 2022.08.19 1240
3236 교열의 힘, 말과 시대상 風文 2022.07.11 1243
3235 어떻게 토론할까, 질문 안 할 책임 風文 2022.07.24 1243
3234 자백과 고백 風文 2022.01.12 1244
3233 말의 평가절하 관리자 2022.01.31 1246
3232 꼬까울새 / 해독, 치유 風文 2020.05.25 1247
3231 태극 전사들 風文 2022.01.29 1247
3230 교정, 교열 / 전공의 風文 2020.05.27 1249
3229 말로 하는 정치 風文 2022.01.21 1249
3228 일본이 한글 통일?, 타인을 중심에 風文 2022.07.22 1250
3227 말끝이 당신이다, 고급 말싸움법 風文 2022.07.19 1251
3226 북한의 ‘한글날’ 風文 2024.01.06 1251
3225 매뉴얼 / 동통 風文 2020.05.30 1252
3224 호언장담 風文 2022.05.09 1252
3223 붓다 / 붇다 風文 2023.11.15 1258
3222 혁신의 의미, 말과 폭력 風文 2022.06.20 1259
3221 한소끔과 한 움큼 風文 2023.12.28 1260
3220 가족 호칭 혁신, 일본식 외래어 風文 2022.06.26 1261
3219 ○○노조 風文 2022.12.26 1261
3218 국민께 감사를 風文 2021.11.10 1264
3217 귀 잡수시다? 風文 2023.11.11 126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