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14 14:17

두만강과 여진어

조회 수 8705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두만강과 여진어

언어 접촉은 땅이름에도 그 흔적을 남긴다. 일본의 ‘고마현’이 백제의 ‘웅진’과 관련이 있듯이, ‘두만강’도 여진어의 잔재임은 널리 알려져 있다.〈용비어천가〉에는 ‘두만강’을 풀이하면서, “여진의 속어로 만(萬)을 두만(豆漫)이라 부른다”는 설명을 덧붙이고 있다.

여진어 모습을 담고 있는 땅이름은 꽤 여러 가지다. 이기문 교수는 〈세종실록지리지〉를 고찰하면서, 함북 종성의 유래를 살핀 바 있다. 지리지 기록에 “호인(여진)들은 종을 일컬어 동건(童巾)이라 했는데, 부내에 동건산이 있어 그로부터 종성이라는 이름이 생겼다”고 했다. 또한 “동건산은 종성부 북쪽에 있는데, 종을 엎어놓은 형상으로 그 위에는 돌로 쌓은 성이 있고, 성안에는 연못이 있다”고 풀이했다.

‘동건’은 때로 ‘동관’(潼關)으로 적을 때도 있는데, 여진어로는 ‘퉁건’이다. 그런데 ‘퉁건’은 본디 ‘북’을 뜻하는 말이었다. 이에 해당하는 우리말은 ‘쇠붑’이다. 곧 ‘북’을 뜻하는 ‘동건’이 ‘종’으로 옮겨지면서 ‘종성’이라는 땅이름을 남겼는데, 이는 ‘북’과 ‘종’을 뒤섞어 쓰는 풍습이 있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 밖에 여진어의 땅이름으로 경성의 다른 이름인 ‘우롱이’ 또는 ‘목랑고’, 마천령의 옛날 이름인 ‘이판대령’ 등도 있다. 야인이 ‘소’를 ‘이판’이라 불렀다는 기록이나 여진어에서 ‘거울’을 뜻하는 ‘무러구’란 말이 있었던 것을 보면, 비록 겨레는 흩어지고 문화는 흐려졌을지라도 언어의 흔적은 끊임없이 남아 있음을 알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92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60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423
202 라틴아메리카 언어 바람의종 2008.02.18 9670
201 호태왕비 바람의종 2008.02.17 9227
200 굿 바람의종 2008.02.17 8122
199 끌끌하다 바람의종 2008.02.16 9842
198 퉁구스 말겨레 바람의종 2008.02.16 10844
197 남산 신성비 바람의종 2008.02.16 9274
196 씀바귀 바람의종 2008.02.15 7960
195 서낭 바람의종 2008.02.15 7330
194 귀지하다 바람의종 2008.02.15 9971
193 극동 언어들 바람의종 2008.02.14 8135
» 두만강과 여진어 바람의종 2008.02.14 8705
191 광대수염 바람의종 2008.02.13 8672
190 춥다와 덥다 바람의종 2008.02.13 10256
189 물어름 바람의종 2008.02.12 8488
188 바스크말 바람의종 2008.02.12 6936
187 백두산 바람의종 2008.02.12 8311
186 패랭이꽃 바람의종 2008.02.11 9167
185 돕다와 거들다 바람의종 2008.02.11 6704
184 노박비 바람의종 2008.02.11 8481
183 우랄 말겨레 바람의종 2008.02.10 8964
182 ‘모라’와 마을 바람의종 2008.02.10 8117
181 부처손 바람의종 2008.02.10 879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