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01 02:32

무릎노리

조회 수 8841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무릎노리

남북의 표기가 다른 낱말 가운데 ‘관자놀이/관자노리’, ‘가슴놀이/가슴노리’가 있다. ‘놀이’와 ‘노리’로 표기가 다른 것은 낱말 짜임의 해석 차이에서 비롯되었다. 남녘말 ‘관자놀이’는 ‘맥박이 뛰는 곳, 맥박이 노는 곳’, 곧 ‘놀다’로 본 것이다. 북녘말 ‘관자노리’는 ‘관자의 언저리 부위’로 보아서 ‘복판의 언저리’를 뜻하는 접미사 ‘-노리’로 본 것이다. ‘가슴놀이/가슴노리’도 마찬가지다. 남북의 견해는 둘 다 나름대로 설득력이 있다.

‘무릎노리’는 <조선말대사전>에서 ‘다리에서 무릎 마디가 있는 자리’로 풀이했는데, ‘무릎의 언저리’로 이해할 수 있다. ‘마디’가 ‘길쭉한 물체에서 잘록하게 들어가거나 불룩하게 도드라진 곳’을 뜻하므로 ‘무릎노리’는 무릎과 무릎 뒷부분을 아울러 가리키게 된다. 북녘말 ‘어깨노리’는 ‘어깨의 언저리’, ‘허리노리’는 ‘허리의 언저리’다. 남북에서 같이 쓰는 ‘배꼽노리’는 ‘배꼽의 언저리’다.

“무릎노리까지 눈이 쌓이다.”(조선말대사전)
“최덕삼은 견장을 뗀 군복외투 어깨노리를 서운한 눈길로 더듬어보더니 …”(중편소설 <호수에 노을 비낀다>)
“강물은 얕아져서 허리노리까지밖에 오지 않았다.”(조선말대사전)

어깨·허리·배꼽은 맥박이 뛰는 부위가 아니므로 ‘어깨놀이, 허리놀이, 배꼽놀이’로 쓸 수는 없겠다. ‘무릎놀이’라는 말은 없지만, 무릎의 뒷부분만을 가리킬 수도 있겠다. 무릎 뒷부분에서도 맥박이 뛰기 때문이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47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09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070
180 세계어 배우기 風文 2022.05.11 1323
179 한 두름, 한 손 風文 2024.01.02 1323
178 깻잎 / 기림비 1 風文 2020.06.01 1322
177 공공언어의 주인, 언어학자는 빠져! 風文 2022.07.27 1320
176 ‘맞다’와 ‘맞는다’, 이름 바꾸기 風文 2022.09.11 1320
175 외래어의 된소리 風文 2022.01.28 1317
174 날씨와 인사 風文 2022.05.23 1317
173 비계획적 방출, 주접 댓글 風文 2022.09.08 1317
172 저리다 / 절이다 風文 2023.11.15 1316
171 '-시키다’ 風文 2023.12.22 1316
170 난민과 탈북자 風文 2021.10.28 1315
169 교정, 교열 / 전공의 風文 2020.05.27 1313
168 분단 중독증, 잡것의 가치 風文 2022.06.09 1313
167 매뉴얼 / 동통 風文 2020.05.30 1311
166 정당의 이름 風文 2022.01.26 1311
165 개념의 차이, 문화어 風文 2022.06.13 1309
164 '김'의 예언 風文 2023.04.13 1309
163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1308
162 일본이 한글 통일?, 타인을 중심에 風文 2022.07.22 1308
161 야민정음 風文 2022.01.21 1307
160 과잉 수정 風文 2022.05.23 1307
159 남과 북의 언어, 뉘앙스 차이 風文 2022.06.10 130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