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31 19:29

으악새

조회 수 988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으악새

오래된 유행가 가운데 가을이 되면 애절하게 가슴을 적시는 “아 아~ 으악새 슬피 우니 가을인가요 …”(‘짝사랑’) 하는 노랫말에서 ‘으악새’가 나온다. 이를 ‘새’(鳥)로 아는 이들이 많은 듯하다. 2절에서 ‘뜸북새’도 슬피 운다 하니 더욱 그럴싸하다. 실제로 정재도님은 그것이 물과 관계가 있으며, 봄에 우리나라에 와 논·강·호숫가에서 살다가 가을에 돌아가며 슬피 우는 ‘왜가리’를 일컫는다고 밝힌 바 있다.

‘짝사랑’에 나오는 ‘으악새’와 상관없이 풀이름 ‘억새’의 경기 사투리로 ‘으악새’가 있고, 억새의 옛말에 ‘어웍새’가 있는 것을 보면, 풀이름과 ‘으악새’의 인연도 깊은 듯하다.

‘새’는 우리가 흔히 동물 이름 ‘○○새’를 떠올리지만, 식물 이름 ‘○○새’도 꽤 있다. 그냥 ‘새’라는 풀도 있고, ‘억새’의 준말이 ‘새’이기도 하다. 또한 볏과식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기도 한데, ‘기름새/ 나래새/ 드렁새/ 들묵새/ 물뚝새/ 쌀새/ 솔새/ 수수새/ 장고새 …들이 있다. ‘방울새’는 새이름이기도 하지만 풀이름이기도 하고, ‘오리새/ 꼬리새/ 호오리새’ 역시 새이름 아닌 풀이름이다.

주변에 19세기 프랑스 폴 베를렌의 시 〈가을의 노래〉 중 “가을날 비올롱의 긴 흐느낌은 ~”에서 ‘비올롱’을 바이올린이 아닌, 세상에서 가장 슬피 우는 새로 잘못 알고 그 감정에 푹 빠져서 불문학을 전공해 교수가 되셨다는 분이 있다. 착각에 힘입은 감동이라도 가끔씩은 개입하는 게 삶의 모습이란 생각이 든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81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32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316
3282 말하는 입 風文 2023.01.03 1255
3281 '김'의 예언 風文 2023.04.13 1256
3280 용찬 샘, 용찬 씨 風文 2023.04.26 1256
3279 아줌마들 風文 2022.01.30 1257
3278 비계획적 방출, 주접 댓글 風文 2022.09.08 1259
3277 정당의 이름 風文 2022.01.26 1262
3276 개념의 차이, 문화어 風文 2022.06.13 1262
3275 분단 중독증, 잡것의 가치 風文 2022.06.09 1263
3274 3인칭은 없다, 문자와 일본정신 風文 2022.07.21 1263
3273 난민과 탈북자 風文 2021.10.28 1264
3272 과잉 수정 風文 2022.05.23 1267
3271 국가 사전을 다시?(2,3) 주인장 2022.10.21 1267
3270 정보와 담론, 덕담 風文 2022.06.15 1268
3269 금새 / 금세 風文 2023.10.08 1269
3268 남과 북의 언어, 뉘앙스 차이 風文 2022.06.10 1270
3267 꼬까울새 / 해독, 치유 風文 2020.05.25 1272
3266 교열의 힘, 말과 시대상 風文 2022.07.11 1274
3265 외래어의 된소리 風文 2022.01.28 1275
3264 반동과 리액션 風文 2023.11.25 1275
3263 일본이 한글 통일?, 타인을 중심에 風文 2022.07.22 1277
3262 ‘며칠’과 ‘몇 일’ 風文 2023.12.28 1277
3261 순직 風文 2022.02.01 127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