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31 19:25

아시저녁·아시잠

조회 수 7584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아시저녁·아시잠

‘아시잠’은 ‘잠깐 드는 잠’이다. 이런 잠을 이르는 말로 ‘선잠·겉잠·어뜩잠’ 등이 있다.

“철민이 이제는 그만 하고 쉬라고 권했으나 어머니는 초저녁에 아시잠을 한숨 자고 났더니 잠이 오지 않는다고 하면서 그냥 일손을 놓지 않았다.”(변희근 <뜨거운 심장>)
“어뜩잠이 들어 꿈속을 헤매다가 깨여난 명옥은 눈을 번쩍 뜨고서 달빛이 환히 비쳐드는 방안을 어수선한 심정으로 두리두리 살폈다.”(장편소설 <태양의 아들>)

‘아시’는 남북 두루 쓰는 토박이말로 ‘처음’을 뜻한다. ‘애’로도 쓰는데, 둘 다 ‘처음’을 뜻하는 ‘아?’에서 왔다. ‘아시’는 ‘애초’와 ‘애벌’로 구분하여 풀이하기도 하나, 애벌은 ‘애+벌(횟수)’ 짜임으로 ‘첫 번’이란 뜻이고, 애초는 ‘애+초’(-初) 짜임으로 ‘맨 처음’을 뜻하므로, ‘처음’이란 풀이로 아우를 수 있겠다.

‘아시빨래·애빨래’는 ‘애벌빨래, 처음 하는 빨래’다. ‘아시갈이·애갈이’는 ‘논밭을 처음 가는 것’, ‘아시논·애논’은 ‘처음 김을 매는 논’이다. ‘아시당초·애당초’는 ‘당초’와 비슷한 말이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애당초’를 ‘애초를 강조하여 이르는 말’로 풀이했는데, ‘당초를 강조하는 말’로 보는 것이 옳겠다. ‘애초’에 ‘당(當)’이 곁들인 게 아니라 ‘당초’(當初)에 ‘애’가 결합했기 때문이다.

북녘말 ‘아시저녁’은 초저녁이고, ‘애저녁’으로도 쓴다. 이 ‘아시’는 ‘초가을·초어스름·초이튿날’ 등의 ‘초’ 자리에 쓸 수도 있겠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89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50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464
3282 예민한 ‘분’ 風文 2023.05.29 1308
3281 말의 미혹 風文 2021.10.30 1309
3280 야민정음 風文 2022.01.21 1309
3279 법과 도덕 風文 2022.01.25 1309
3278 남과 북의 언어, 뉘앙스 차이 風文 2022.06.10 1310
3277 꼬까울새 / 해독, 치유 風文 2020.05.25 1311
3276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1311
3275 거짓말과 개소리, 혼잣말의 비밀 風文 2022.11.30 1311
3274 정당의 이름 風文 2022.01.26 1313
3273 일본이 한글 통일?, 타인을 중심에 風文 2022.07.22 1313
3272 교정, 교열 / 전공의 風文 2020.05.27 1316
3271 분단 중독증, 잡것의 가치 風文 2022.06.09 1316
3270 개념의 차이, 문화어 風文 2022.06.13 1316
3269 저리다 / 절이다 風文 2023.11.15 1319
3268 외래어의 된소리 風文 2022.01.28 1320
3267 '김'의 예언 風文 2023.04.13 1321
3266 비계획적 방출, 주접 댓글 風文 2022.09.08 1322
3265 매뉴얼 / 동통 風文 2020.05.30 1323
3264 난민과 탈북자 風文 2021.10.28 1323
3263 날씨와 인사 風文 2022.05.23 1324
3262 공공언어의 주인, 언어학자는 빠져! 風文 2022.07.27 1326
3261 세계어 배우기 風文 2022.05.11 132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