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21 11:04

태백산과 아사달

조회 수 7770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태백산과 아사달

신화는 그 겨레의 뿌리이자 정신세계를 반영한다.

<삼국유사>에 기록된 ‘단군신화’는 우리 겨레의 뿌리이자 정신세계가 담긴 것라고 할 수 있다. 하느님의 아들인 환웅이 아사달 신단수에 내려와 웅녀와 혼인하여 아들을 낳았고, 그 아들의 이름을 단군이라 불렀다는 게 단군신화의 내용이다. 이에 <신증동국여지승람>은 하늘에서 신인이 태백산 박달나무 아래로 내려와 나라를 세웠는데, 백성들이 그를 단군이라 부른 것으로 기록한 바 있다.

다소 차이는 있지만, 우리는 두 문헌에 나온 기록을 통해 단군신화에 나타나는 ‘아사달’과 ‘태백산’이 같은 곳을 뜻함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아사달’에서 ‘달’은 <삼국사기> 지리지 고구려계 땅이름에서 흔히 발견되는데, 한자어 ‘산’(山)과 같은 뜻을 지닌 말이며, ‘아사’는 ‘아침’의 어원에 해당하는 말로, 알타이어에 드는 퉁구스·터키·몽골어에서도 흔적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아침’과 ‘밝음’, ‘태양’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그렇기에 단군이 세운 나라를 ‘조선’(朝鮮)이라 부른 것도 자연스러운 일로 보인다. 아침을 밝히는 주체가 ‘해’라는 점을 고려하면, ‘태백산’은 ‘아사달’의 한자어인 셈이다. 더욱이 ‘태백산·소백산·백운산·백마산’에 나오는 ‘백’(白)은 모두 ‘태양’과 관련을 맺는데, 이는 ‘해’를 한자로 옮길 때 ‘백’(白)을 썼다는 얘기다. 우리나라 곳곳에는 ‘해’와 관련된 땅이름들이 많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37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98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839
3304 안시성과 아골관 바람의종 2008.01.19 6815
3303 말차례 바람의종 2008.01.20 488837
3302 부리다와 시키다 바람의종 2008.01.20 8469
3301 달맞이꽃 바람의종 2008.01.20 6452
» 태백산과 아사달 바람의종 2008.01.21 7770
3299 인사말 바람의종 2008.01.22 8997
3298 소젖 바람의종 2008.01.22 6512
3297 너도밤나무 바람의종 2008.01.22 6836
3296 황새울과 큰새 바람의종 2008.01.24 11328
3295 사촌 바람의종 2008.01.24 10436
3294 이마귀 바람의종 2008.01.24 9328
3293 차례와 뜨레 바람의종 2008.01.25 8291
3292 개양귀비 바람의종 2008.01.25 7445
3291 듬실과 버드실 바람의종 2008.01.25 7733
3290 형제자매 바람의종 2008.01.26 11557
3289 자욱길 바람의종 2008.01.26 11745
3288 뽑다와 캐다 바람의종 2008.01.26 8358
3287 개차산과 죽산 바람의종 2008.01.27 9042
3286 달개비 바람의종 2008.01.27 9359
3285 삼촌 바람의종 2008.01.27 8201
3284 깍지다리 바람의종 2008.01.28 7238
3283 말꽃과 삶꽃 바람의종 2008.01.28 704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