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19 11:18

안시성과 아골관

조회 수 6846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안시성과 아골관

안시성(安市城)은 고구려 역사에서도 상징적인 곳이라고 할 수 있다. 양만춘 장군이 쏜 화살이 당태종 이세민의 눈을 맞힘으로써 당의 침략을 막아낸 곳이 그곳인 까닭이다. 그런데 안시성은 어떤 뜻을 지닌 말일까?

<이재속고> ‘화음방언자의해’에는 “압록강을 건너 구련성이 있는데, 명나라 때 요동에 소속되었다. <삼연집>에서는 아골관(鴉?關)이라 일컬었으며, 만력 병신년에 이름을 고쳐 ‘진강성’이라 하고 유격부를 설치했다. 청나라 사람들은 그 땅을 비워 두었으니 대개 요하의 동쪽으로, 본디 고구려의 옛 경계다. 당서에는 안시성은 없으나 곧 아골관이 그곳이다. 아(鴉)와 안(安)은 소리가 비슷하고, 골(?)과 시(市) 두 자모 또한 서로 바뀐 것이다”라고 적고 있다. 여기서 우리는 안시성의 옛이름으로 ‘아골관’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아골관’의 ‘골’(?)은 <집운>에서 ‘홀’(忽)과 같다. 이 ‘홀’이 고구려의 땅이름 가운데 마을을 뜻하는 말이었음을 고려한다면, 안시성도 고구려의 수많은 ‘홀’이 붙은 땅이름임을 알 수 있다.

<삼국사기>에는 안시성을 ‘안촌홀’이라 했으며, ‘환도성’이라고도 하였다. 또한 <연행록>을 비롯하여 많은 문헌 기록에는 안시성을 ‘봉황성’이라고도 했다. ‘환’(環)은 둥근 알을 뜻하며, 봉황은 신령스런 새이니 환도성과 봉황성은 그뜻을 한자로 살린 이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른바 ‘동북공정’에서 한국사 비틀기를 바로잡는 데 내려오는 땅이름의 실체도 좋은 자료가 될 듯하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97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47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380
3304 ‘내 부인’이 돼 달라고? 風文 2023.11.01 1426
3303 야민정음 風文 2022.01.21 1427
3302 말과 절제, 방향과 방위 風文 2022.07.06 1427
3301 용찬 샘, 용찬 씨 風文 2023.04.26 1429
3300 좋은 목소리 / 좋은 발음 風文 2020.05.26 1431
3299 국가 사전을 다시?(2,3) 주인장 2022.10.21 1431
3298 울면서 말하기 風文 2023.03.01 1434
3297 동무 생각, 마실 외교 風文 2022.06.14 1435
3296 말하는 입 風文 2023.01.03 1435
3295 말의 이중성, 하나 마나 한 말 風文 2022.07.25 1436
3294 날씨와 인사 風文 2022.05.23 1437
3293 사저와 자택 風文 2022.01.30 1438
3292 남과 북의 언어, 뉘앙스 차이 風文 2022.06.10 1438
3291 난민과 탈북자 風文 2021.10.28 1441
3290 발음의 변화, 망언과 대응 風文 2022.02.24 1442
3289 정당의 이름 風文 2022.01.26 1444
3288 애정하다, 예쁜 말은 없다 風文 2022.07.28 1445
3287 장녀, 외딸, 고명딸 風文 2023.12.21 1445
3286 깻잎 / 기림비 1 風文 2020.06.01 1447
3285 교열의 힘, 말과 시대상 風文 2022.07.11 1448
3284 말의 미혹 風文 2021.10.30 1449
3283 말의 바깥, 말의 아나키즘 風文 2022.08.28 145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