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12 02:45

고양이

조회 수 7860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고양이

‘고양이 앞에 쥐 꼴’, ‘고양이 목에 방울 달기’, ‘고양이에게 생선가게를 맡긴 격’ 등은 고양이를 소재로 한 대표적인 속담이다. ‘고양이’(猫)는 15세기 문헌에서는 ‘괴’로 나타난다. 이 ‘괴’에 ‘작은 것’을 뜻하는 뒷가지 ‘-앙이’가 연결되어 ‘괴양이>고양이’가 된다. ‘고양이’는 17세기에 보이며 19세기부터 많이 썼다.

‘고양이’는 방언에서 매우 다양하게 쓰인다. 그 부류를 크게 나누어 보면 ‘괴·고양이·고니’로 나눌 수 있다. ‘괴’는 중세국어의 형태를 쓰는 것으로 지역에 따라 ‘고이·괴·궤·귀’로 발음한다. ‘고양이’는 ‘고앵이·고얭이·귀앵이·귀얭이·괴양이·괴앵이·광이·괭이·괘이·궤이’로 발음한다.

‘고니’(鬼尼)는 12세기 문헌인 <계림유사>에 보이는 어휘로 ‘고니’에 뒷가지 ‘-앙이’가 연결되어 ‘고냉이·고넹이·고냥이·꼬냥이·고넁이·개냉이·고내기·괘내기·귀내기·괴대기’로 발음한다. 소설 <토지>의 “니내 할 것 없이 사우는 고내기 새끼, 다 마찬가지 아니겄소”란 문장에서 이 방언을 볼 수 있다.

그 밖에도 ‘새깨미·살찡이’ 등을 쓰고 있다. 북쪽에서는 위에서 제시한 것 외에도 ‘고내·고냬·고내이·고애·고얘·공애·공얘’ 등의 발음을 사용하고 있다. ‘고양이’는 매우 다양한 발음으로 고장에서 쓰고 있다. 마치 오늘날 우리 사회의 다양한 모습을 보는 듯하다. “약빠른 고양이 밤눈 어둡다”는 속담이 떠오른다.

이태영/전북대 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26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75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721
3326 마그나 카르타 風文 2022.05.10 1132
3325 왜 벌써 절망합니까 - 벤처대부는 나의 소망 風文 2022.05.26 1133
3324 쓰봉 風文 2023.11.16 1133
3323 사람, 동물, 언어 / 언어와 인권 風文 2022.07.13 1134
3322 모호하다 / 금쪽이 風文 2023.10.11 1134
3321 말과 절제, 방향과 방위 風文 2022.07.06 1135
3320 말과 상거래 風文 2022.05.20 1137
3319 ‘며칠’과 ‘몇 일’ 風文 2023.12.28 1141
3318 '-시키다’ 風文 2023.12.22 1142
3317 외국어 차용 風文 2022.05.06 1143
3316 내일러 風文 2024.01.03 1144
3315 그림과 말, 어이, 택배! 風文 2022.09.16 1146
3314 상석 風文 2023.12.05 1146
3313 국어와 국립국어원 / 왜 風文 2022.08.29 1147
3312 말의 세대 차 風文 2023.02.01 1148
3311 주어 없는 말 風文 2021.11.10 1149
3310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이제 '본전생각' 좀 버립시다 風文 2022.02.06 1150
3309 뒤죽박죽, 말썽꾼, 턱스크 風文 2022.08.23 1151
3308 피동형을 즐기라 風文 2023.11.11 1152
3307 발음의 변화, 망언과 대응 風文 2022.02.24 1154
3306 주시경, 대칭적 소통 風文 2022.06.29 1154
3305 노동과 근로, 유행어와 신조어 風文 2022.07.12 115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