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07 20:10

겨울

조회 수 8232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겨울
고장말탐험
한겨레





























» 2006년 11월 8일자 한겨레 신문 숨은말 탐험 이미지. 기사본문의 고어가 깨져 이미지를 넣습니다.
입동을 맞으면서 비가 오더니 기온이 크게 내려갔다. 엊그제까지 단풍이 들어 가을인가 했는데 이제 두툼한 옷을 입어야 하는 철이 되었다. 겨울은 가장 추운 계절로 양력에서는 12월부터 2월까지, 음력으로는 10월부터 12월까지를 말하고, 24절기로는 입동부터 입춘까지를 말한다.

‘겨울’(冬)은 중세국어에서 ‘겨 ·겨 ㅎ·겨을’을 거쳐 중부 방언에서 ‘겨울’로 쓰면서 표준어가 되었다. ‘겨울’은 지역 따라 음운 변화를 겪으면서 ‘겨을·결·게울·기을’을 쓰기도 하고, ‘저슬·저실·저울·절·즈을ㄱ·’을 쓰기도 한다. ‘겨 ’이 ‘저슬’로 바뀐 것을 보여준다. 한편 중세국어 ‘겨 ㅎ’에서 ‘ㅎ’이 대체로 ‘ㄱ’으로 발음되면서 지역에 따라 ‘저실ㄱ·저울ㄱ·절ㄱ·즈을ㄱ·?a’의 형태를 보이기도 한다.

‘동삼·동샘이·삼동’은 함경도와 평안도에서 널리 쓰는데 ‘동삼’은 ‘삼동’(三冬)과 같은 말이다. 곧, 겨울에 드는 석 달을 가리킨다.

‘세안, 시안’은 전라 방언에서 많이 쓴다. 겨울을 ‘세안·시안’이라고 하는 까닭은 이 말이 바로 겨울 추위를 뜻하였기 때문이다. 곧 ‘매우 심한 한겨울의 추위’를 이르는 ‘세한’(歲寒)을 말하는 것이다. 겨울은 계절을, ‘세한’은 추위를 말하는 것인데, 이 말이 ‘겨울’을 대신하는 말이 됐다.

중세국어의 형태가 지역에 따라 다양한 음운 변화를 일으키면서 한자어와 함께 다양하게 쓰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태영/전북대 교수·국어학





***** 윤영환님에 의해서 게시물 카테고리변경되었습니다 (2008-10-14 00:05)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48730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10157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13Jan
    by 바람의종
    2008/01/13 by 바람의종
    Views 6282 

    말높이기

  5. No Image 12Jan
    by 바람의종
    2008/01/12 by 바람의종
    Views 6438 

    서울

  6. No Image 12Jan
    by 바람의종
    2008/01/12 by 바람의종
    Views 7851 

    고양이

  7. No Image 12Jan
    by 바람의종
    2008/01/12 by 바람의종
    Views 7536 

    울과 담

  8. No Image 11Jan
    by 바람의종
    2008/01/11 by 바람의종
    Views 8881 

    떨려나다

  9. No Image 10Jan
    by 바람의종
    2008/01/10 by 바람의종
    Views 6407 

    말다듬기

  10. No Image 10Jan
    by 바람의종
    2008/01/10 by 바람의종
    Views 6823 

    말소리의 억양

  11. No Image 10Jan
    by 바람의종
    2008/01/10 by 바람의종
    Views 8736 

    쇠죽

  12. No Image 08Jan
    by 바람의종
    2008/01/08 by 바람의종
    Views 8356 

    먹거리와 먹을거리

  13. No Image 08Jan
    by 바람의종
    2008/01/08 by 바람의종
    Views 10662 

    헛이름

  14. No Image 08Jan
    by 바람의종
    2008/01/08 by 바람의종
    Views 7168 

    말소리의 높낮이

  15. No Image 07Jan
    by 바람의종
    2008/01/07 by 바람의종
    Views 7416 

    ‘오빠 부대’

  16. 겨울

  17. No Image 07Jan
    by 바람의종
    2008/01/07 by 바람의종
    Views 8797 

    참말과 거짓말

  18. No Image 06Jan
    by 바람의종
    2008/01/06 by 바람의종
    Views 8102 

    ‘막하다’

  19. No Image 06Jan
    by 바람의종
    2008/01/06 by 바람의종
    Views 6273 

    노무족

  20. No Image 06Jan
    by 바람의종
    2008/01/06 by 바람의종
    Views 5776 

    모음의 짜임새

  21. No Image 05Jan
    by 바람의종
    2008/01/05 by 바람의종
    Views 9124 

    호박고지

  22. No Image 05Jan
    by 바람의종
    2008/01/05 by 바람의종
    Views 7509 

    할말과 못할말

  23. No Image 05Jan
    by 바람의종
    2008/01/05 by 바람의종
    Views 7796 

    제맛

  24. No Image 04Jan
    by 바람의종
    2008/01/04 by 바람의종
    Views 6999 

    자음의 짜임새

  25. No Image 04Jan
    by 바람의종
    2008/01/04 by 바람의종
    Views 7390 

    경제 새말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