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2.21 10:51

미꾸라지

조회 수 7420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미꾸라지

추어탕이 생각나는 철이다. 미꾸라지와 함께 무청·호박잎·고추를 넣고 끓인 뒤 제핏가루(산초-)를 살짝 쳐 먹으면 구수하고 향긋한 맛이 나는 국이 바로 추어탕이다. 추어탕의 주인공인 ‘미꾸라지’를 남쪽에서는 ‘미꾸리·미꾸라지·웅구락지·용주래기’로 일컫는 등 쓰는 말이 다양하다.

‘미꾸리’는 16세기부터 19세까지 문헌에 나오는 낱말이다. 역사적으로 용언 ‘믯글’(미끌-)에 뒷가지 ‘-이’가 연결되어 ‘믯글이>밋구리’로 쓰면서, 남쪽의 여러 고장에서 ‘미꾸리·미꼬리·밀꾸리’로 소리내 쓴다. 20세기 문헌에서 발견할 수 있는 ‘미꾸라지’는 ‘믯글’에 뒷가지 ‘-아지’가 합친 것으로, 방언에서는 주로 ‘미꾸라지’와 ‘미꼬라지’로 발음하는데, 다른 발음으로는 ‘미꾸락지·미꾸람지·미꾸래기·미꾸래미·미꾸래이·미꾸랭이’ 등 아주 다양하다.

전남에서 사용하는 ‘옹구락지·웅구락지’는 ‘우글우글, 우글거리다’에서 볼 수 있는 시늉말 ‘우글’을 뜻하는 ‘옹굴’에 뒷가지 ‘-악지’가 결합하여 새로운 꼴이 생긴 것이다. 강원도에서는 ‘용고기·용곡지·용주래기’를 쓰는데, 이는 용처럼 생겼다고 해서 만든 이름이다.
함경도에서는 ‘새처네·소천어·종개미·찍찍개’ 등을, 평안도에서는 ‘말배꼽·맹가니·장구래기·증금다리·징구마리’ 등으로 쓴다.

‘미꾸라지’라는 말을 보면, 역사적으로 오래된 형태가 고장말에 여전히 많이 남아 있고, 그 고장의 정서에 맞게 새롭게 만든 말도 적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태영/전북대 교수·국어학





***** 윤영환님에 의해서 게시물 카테고리변경되었습니다 (2008-10-14 00:0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51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13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133
92 ~ ㄴ걸 / ~ ㄹ 걸 바람의종 2008.12.11 10280
91 [re] 시치미를 떼다 file 바람의종 2010.11.17 13075
90 X세대 바람의종 2008.02.20 8477
89 X-mas 바람의종 2011.12.26 13484
88 CCTV 윤안젤로 2013.05.13 28143
87 8월의 크리스마스 / 땅꺼짐 風文 2020.06.06 1581
86 4·3과 제주어, 허버허버 風文 2022.09.15 1611
85 3인칭은 없다, 문자와 일본정신 風文 2022.07.21 1301
84 24시 / 지지지난 風文 2020.05.16 1214
83 1일1농 합시다, 말과 유학생 風文 2022.09.20 1195
82 1도 없다, 황교안의 거짓말? 風文 2022.07.17 1439
81 12바늘을 꿰맸다 바람의종 2010.12.19 12892
80 1.25배속 듣기에 사라진 것들 風文 2023.04.18 1428
79 -화하다, -화되다 바람의종 2009.08.07 9537
78 -지기 바람의종 2012.05.30 11387
77 -씩 바람의종 2010.01.23 9355
76 -시- ① / -시- ② 風文 2020.06.21 1760
75 -스럽다 바람의종 2010.08.14 9066
74 -분, 카울 風文 2020.05.14 1646
73 -가량(假量) 바람의종 2010.06.20 10442
72 (밤)참 風磬 2006.11.30 6319
71 (뒷)바라지 風磬 2006.11.16 709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