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2.20 05:02

개구지다

조회 수 8523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개구지다

심하게 장난을 하는 아이를 일컬어 ‘장난꾸러기’ 또는 ‘개구쟁이’라고 한다. 그리고 ‘장난꾸러기’나 ‘개구쟁이’가 하는 행동을 두고 ‘짓궂다’란 표현을 쓴다. 전라남도에서는 ‘제양시롭다’고도 하고, 북한에서는 ‘짓궂다’는 말은 없고 ‘장난궂다’라고 한다. ‘짓궂다’나 ‘장난궂다’와 비슷한 뜻으로 쓰이면서 사전에 오르지 않은 말이 있다.

“씨름이며 닭싸움이며를 하느라 한참 동안 개구지게 놀고 난 아이들이 비녀봉으로 칡이나 캐러 갈까 하고 둑을 내려설라치면 ….”(이서하 〈서점 앞에서〉)
“아이보다 천진난만하고 개구진 목소리로 이 노래를 불렀던 ○○○씨가 또 한편의 애니메이션 주제곡에 도전한다.”(〈씨네21〉)
“그러곤 개구진 미소를 짓다가 인찬의 굳은 표정을 본다.”(최진원 외 〈해바라기 5회〉)

‘개구지다’에서 ‘개구’는 문장에 단독으로 쓰일 수 없는 ‘어근’이다. ‘개구쟁이’에서의 ‘개구’와 같은 뜻으로, ‘장난이 심하고 짓궂음’의 뜻을 나타낸다. 뒤에 붙은 ‘지다’는 ‘값지다’, ‘멋지다’의 ‘지다’처럼 ‘그런 성질이 있음’의 뜻을 더하면서 앞에 오는 어근이나 명사를 형용사로 만드는 뒷가지(접미사)다. 따라서 ‘개구지다’는 ‘장난이 심하고 짓궂은 성질(경향)이 있다’는 뜻으로 쓰인다. 이러한 뜻의 ‘개구’가 포함된 북한말로 ‘개구장마누라’가 있는데, ‘입이 걸고 행실이 못된 여자’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한용운/겨레말큰사전 편찬부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36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85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833
3392 '매우''아주''몹시' 바람의종 2008.05.01 7741
3391 '명문'이라는 이름 / 가족의 의미 風文 2020.07.16 2442
3390 '미망인'이란 말 風文 2021.09.10 817
3389 '바치다'와 '받치다' file 風文 2023.01.04 1275
3388 '밖에'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7.16 10941
3387 '밖에'의 띄어쓰기 風文 2023.11.22 1228
3386 '받다'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18 25490
3385 '붓'의 어원 風文 2023.08.18 1583
3384 '사과'의 참뜻 / 사람의 짓 風文 2020.07.14 2042
3383 '상(上)' 띄어쓰기 바람의종 2012.06.13 10214
3382 '숫'을 쓰는 동물 바람의종 2012.09.25 10009
3381 '식해(食)'와 '식혜(食醯)' 바람의종 2009.02.22 7571
3380 '아' 다르고 '어' 다르다 바람의종 2008.04.22 9799
3379 '여부' 의 사용을 줄이자(上) 바람의종 2008.06.21 6809
3378 '여부' 의 사용을 줄이자(下) 바람의종 2008.06.23 5951
3377 '여부' 의 사용을 줄이자(中) 바람의종 2008.06.22 5492
3376 '연륙교'의 발음은? 바람의종 2012.01.06 10742
3375 '우레'가 운다 바람의종 2008.05.25 7807
3374 '이' '히' 거참 헷갈리네 바람의종 2008.07.03 7030
3373 '이/가' '을/를' 바람의종 2009.03.27 5568
3372 '자처'와 '자청' 바람의종 2011.05.01 9109
3371 '작'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10.01 1055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