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2.18 06:27

고구마

조회 수 8848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고구마

쌀·보리 같은 곡물 대신 감자와 함께 흔히 먹는 식물에 고구마가 있다. 대체로 ‘고구마’로 부르지만 경남에서는 ‘고매’라 일컫고, 전남에서는 ‘감자’, 제주에서는 ‘감저’라고도 한다. 겨울에는 물기가 많은 ‘물고구마’가 좋고, 여름에는 밤처럼 포슬포슬한 ‘밤고구마’를 즐겨 찾는다. 군고구마·찐고구마도 있고, 쌀이 모자라던 전날엔 술을 담가 먹기도 했다.

고구마는 잎이 자라면 어린잎을 따 먹는데 이를 ‘고구맛순/고구마 순’이라 한다. 조금 더 자라서 줄기(덩굴·넝쿨)를 뻗으면 이를 ‘고구마 줄기’라 하는데, 실제로는 ‘잎자로’로서 지역에 따라서 ‘고구마 줄기/쭐기, 고구마 줄거리/쭐거리’라 부른다.

경기도에서는 ‘고구마 줄기, 고구마 줄거리, 고구마 순’을 일반적으로 쓰고, 경상 방언에서는 ‘줄기’를 ‘쭐기·줄거리·쭐거리·쭐그리·쭐겡이’로 쓴다. 충북에서도 ‘줄기·줄거리·쭐거리’로 발음한다. 전남과 충남에서는 ‘감자 순/감잣순, 감자 줄기, 감자 줄거리, 감자 대/감잣대’로 쓴다. 제주에서는 ‘감젓줄·감저꿀·감저뗑가리’ 등을 쓴다. 전북에서는 ‘고구마 줄거리, 고구마 순/고구맛순, 고구마 대/고구맛대’라고 일컫는데 특히 ‘고구맛순’과 ‘고구맛대’를 많이 쓴다. 고구마 잎자루를 따서 잎을 버리고 그 대를 먹는 까닭에 ‘고구맛대’로 부르는 것 같다. 표준어로는 ‘고구마 줄기’라 부르면 되지만, 지역에 따라서 고구마의 어린잎과 줄기를 부르는 이름과 그것을 식용으로 하면서 부르는 이름에서 상당한 차이가 난다.

이태영/전북대 교수·국어학





***** 윤영환님에 의해서 게시물 카테고리변경되었습니다 (2008-10-14 00:0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88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49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459
70 속담 순화, 파격과 상식 風文 2022.06.08 1193
69 몰래 요동치는 말 風文 2023.11.22 1193
68 외국어 선택, 다언어 사회 風文 2022.05.16 1190
67 고양이 살해, 최순실의 옥중수기 風文 2022.08.18 1186
66 언어의 혁신 風文 2021.10.14 1184
65 올바른 명칭 風文 2022.01.09 1181
64 외교관과 외국어, 백두산 전설 風文 2022.06.23 1181
63 뒷담화 보도, 교각살우 風文 2022.06.27 1180
62 짧아져도 완벽해, “999 대 1” 風文 2022.08.27 1177
61 산막이 옛길 風文 2023.11.09 1175
60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선한 기업이 성공한다 風文 2021.10.31 1174
59 말과 공감 능력 風文 2022.01.26 1172
58 댕댕이, 코로나는 여성? 風文 2022.10.07 1168
57 이중피동의 쓸모 風文 2023.11.10 1162
56 댄싱 나인 시즌 스리 風文 2023.04.21 1158
55 사과의 법칙, ‘5·18’이라는 말 風文 2022.08.16 1156
54 권력의 용어 風文 2022.02.10 1146
53 편견의 어휘 風文 2021.09.15 1142
52 안녕히, ‘~고 말했다’ 風文 2022.10.11 1135
51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자네 복싱 좋아하나? 風文 2022.02.10 1134
50 영어 절대평가 風文 2022.05.17 1129
49 불교, 경계를 넘다, 동서남북 風文 2022.08.15 112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