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2.16 03:52

새말의 정착

조회 수 7476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새말의 정착

어떤 말이 처음 만들어졌을 때 그게 얼마나 오래갈지 예측하기 어렵다. 눈길을 끌 기사 제목을 달고자 만든 새말이 그때만 쓰이고 사라질 수도 있고, 누리그물(인터넷)에서 새로 만들어 쓴 말이 누리꾼 사이에 잠깐 유행하다 자취를 감출 수도 있다. 낱낱의 새말이 널리 퍼져 정착하는지, 잠시 쓰이다 사라지는지를 파악하려면 그런 말의 쓰임을 꾸준히 조사해야 한다. 2004년에 조사된 새말 중에 2005년에 가장 많이 쓰인 것으로 나타난 것은 ‘신행정수도’였다. 그해 10월 헌법재판소의 신행정수도 특별법 위헌 결정부터 2005년 11월 행정도시 특별법 합헌 결정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국민의 관심사였음을 드러내는 결과다. 다음으로는 ‘네티즌’을 바꿔 만든 ‘누리꾼’이 많이 쓰였다. 처음 생겼을 때는 ‘네티즌’보다 세가 약했으나 언론과 인터넷 사용자들이 의식적으로 많이 쓰면서 자리를 잡는다. 3위는 경제 분야 말 ‘종합 부동산세’였다. 줄여서 ‘종부세’도 많이 쓰이는데, 관련 법이 적용되는 까닭에 앞으로도 활발하게 쓰일 터이다.

2004년에 조사된 새말들이 2005년에도 꾸준히 쓰이는 것으로 나타난 말은 54%였다. 절반 정도가 지속적으로 쓰이고 나머지는 1년 사이에 세력을 잃은 것이다. 2003년 새말은 52%, 2002년 새말은 45% 정도가 2005년에도 쓰이는 것으로 나타난다. 짧게는 5년 길게는 10년 넘게 꾸준히 쓰임이 조사되는 새말은 우리말의 어휘 집합 안에 정착했다고 볼 수 있다.

김한샘/국립국어원 연구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86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41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385
70 성적이 수치스럽다고? 風文 2023.11.10 1432
69 피동형을 즐기라 風文 2023.11.11 1281
68 귀 잡수시다? 風文 2023.11.11 1335
67 기역 대신 ‘기윽’은 어떨까, 가르치기도 편한데 風文 2023.11.14 1328
66 본정통(本町通) 風文 2023.11.14 1364
65 조의금 봉투 風文 2023.11.15 1277
64 후텁지근한 風文 2023.11.15 1527
63 붓다 / 붇다 風文 2023.11.15 1314
62 저리다 / 절이다 風文 2023.11.15 1293
61 부사, 문득 風文 2023.11.16 1100
60 쓰봉 風文 2023.11.16 1173
59 까치발 風文 2023.11.20 1280
58 ‘가오’와 ‘간지’ 風文 2023.11.20 1318
57 주현씨가 말했다 風文 2023.11.21 1323
56 군색한, 궁색한 風文 2023.11.21 1176
55 몰래 요동치는 말 風文 2023.11.22 1166
54 '밖에'의 띄어쓰기 風文 2023.11.22 1325
53 내색 風文 2023.11.24 1073
52 ‘개덥다’고? 風文 2023.11.24 1543
51 반동과 리액션 風文 2023.11.25 1327
50 '마징가 Z'와 'DMZ' 風文 2023.11.25 1456
49 흰 백일홍? 風文 2023.11.27 183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