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2.16 03:52

새말의 정착

조회 수 7594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새말의 정착

어떤 말이 처음 만들어졌을 때 그게 얼마나 오래갈지 예측하기 어렵다. 눈길을 끌 기사 제목을 달고자 만든 새말이 그때만 쓰이고 사라질 수도 있고, 누리그물(인터넷)에서 새로 만들어 쓴 말이 누리꾼 사이에 잠깐 유행하다 자취를 감출 수도 있다. 낱낱의 새말이 널리 퍼져 정착하는지, 잠시 쓰이다 사라지는지를 파악하려면 그런 말의 쓰임을 꾸준히 조사해야 한다. 2004년에 조사된 새말 중에 2005년에 가장 많이 쓰인 것으로 나타난 것은 ‘신행정수도’였다. 그해 10월 헌법재판소의 신행정수도 특별법 위헌 결정부터 2005년 11월 행정도시 특별법 합헌 결정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국민의 관심사였음을 드러내는 결과다. 다음으로는 ‘네티즌’을 바꿔 만든 ‘누리꾼’이 많이 쓰였다. 처음 생겼을 때는 ‘네티즌’보다 세가 약했으나 언론과 인터넷 사용자들이 의식적으로 많이 쓰면서 자리를 잡는다. 3위는 경제 분야 말 ‘종합 부동산세’였다. 줄여서 ‘종부세’도 많이 쓰이는데, 관련 법이 적용되는 까닭에 앞으로도 활발하게 쓰일 터이다.

2004년에 조사된 새말들이 2005년에도 꾸준히 쓰이는 것으로 나타난 말은 54%였다. 절반 정도가 지속적으로 쓰이고 나머지는 1년 사이에 세력을 잃은 것이다. 2003년 새말은 52%, 2002년 새말은 45% 정도가 2005년에도 쓰이는 것으로 나타난다. 짧게는 5년 길게는 10년 넘게 꾸준히 쓰임이 조사되는 새말은 우리말의 어휘 집합 안에 정착했다고 볼 수 있다.

김한샘/국립국어원 연구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29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97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803
3392 왜 벌써 절망합니까 - 8. 경영하지 않는 경영자들 관리자 2022.02.13 1206
3391 불교, 경계를 넘다, 동서남북 風文 2022.08.15 1211
3390 내색 風文 2023.11.24 1213
3389 영어 절대평가 風文 2022.05.17 1226
3388 왜 벌써 절망합니까 - 훼방만 말아 달라 風文 2022.05.23 1231
3387 편견의 어휘 風文 2021.09.15 1239
3386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선한 기업이 성공한다 風文 2021.10.31 1247
3385 말과 공감 능력 風文 2022.01.26 1251
3384 여보세요? 風文 2023.12.22 1253
3383 사과의 법칙, ‘5·18’이라는 말 風文 2022.08.16 1261
3382 안녕히, ‘~고 말했다’ 風文 2022.10.11 1261
3381 댕댕이, 코로나는 여성? 風文 2022.10.07 1265
3380 댄싱 나인 시즌 스리 風文 2023.04.21 1265
3379 고양이 살해, 최순실의 옥중수기 風文 2022.08.18 1267
3378 뒷담화 보도, 교각살우 風文 2022.06.27 1270
3377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자네 복싱 좋아하나? 風文 2022.02.10 1272
3376 언어와 인권 風文 2021.10.28 1276
3375 올해엔 저지른다, ‘죄송하지만’ 風文 2022.08.04 1276
3374 외국어 선택, 다언어 사회 風文 2022.05.16 1283
3373 24시 / 지지지난 風文 2020.05.16 1289
3372 몰래 요동치는 말 風文 2023.11.22 1294
3371 이중피동의 쓸모 風文 2023.11.10 129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