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2.13 04:33

뒷담화

조회 수 7171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뒷담화

얼마 전 “‘뒷담화’가 맞아요? ‘뒷다마’가 맞아요?” 하는 질문을 받았다. 어떤 사람은 ‘뒷담화’(-談話)가, 다른 사람은 ‘뒷다마’(-たま)가 맞다고 하는 바람에 말싸움이 붙었단다. 주로 ‘뒷담화/뒷다마를 까다’와 같이 비속하게 쓰이다 보니 국어사전에도 오르지 않아 궁금해하는 이들이 많다.

입에서 입으로 전해져 정착되었기에 ‘뒷다마를 까다’라는 표현이 언제 어떻게 생겼는지 밝히기는 어렵다. 일본말 ‘아다마’(아타마)에서 ‘뒤통수를 치다’라는 뜻의 ‘뒷다마를 까다’라는 표현이 만들어졌다는 주장, 당구대를 맞고 돌던 공이 우연히 다른 공을 맞혔을 때 쓰는 당구말 ‘뒷다마’(-たま)에서 왔다는 주장이 있다. 당구장에서 ‘뒷다마’라는 말이 흔히 쓰이고 생성 과정이 단순하다는 점에서 뒤쪽이 그럴듯하다. 그런데 왜 ‘뒷다마를 치다’가 아니고 ‘뒷다마를 까다’일까? 부정적인 뜻을 강조하고자 ‘치다’를 ‘남의 결함을 들추어 비난하다’라는 뜻의 ‘까다’로 교체한 것으로 보인다.

‘뒷담화’는 ‘뒷다마’라는 말이 일본어에서 온 것이고 비속한 느낌이 강해 ‘다마’(-たま) 대신 발음이 비슷한 ‘담화’를 붙여 새로 만든 말이다. 일단 ‘뒷담화’라는 말이 만들어지고 나니 ‘이야기’라는 뜻이 반영돼 ‘영화 촬영 뒷담화, 공연 뒷담화’처럼 ‘뒷이야기’ 뜻으로도 쓰인다.

‘뒷다마’나 ‘뒷담화’란 말보다는 ‘일이 끝난 뒤 뒷공론으로 하는 말’이라는 뜻의 ‘뒷말’이나 ‘뒷이야기’와 같이 쉬운 말을 쓰는 것이 좋겠다.

김한샘/국립국어원 연구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29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86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828
70 우리말 계통 바람의종 2007.12.22 5843
69 주머니차 바람의종 2007.12.22 7504
68 미꾸라지 바람의종 2007.12.21 7412
67 사람 바람의종 2007.12.21 6767
66 개구지다 바람의종 2007.12.20 8601
65 만주말 지킴이 스쥔광 바람의종 2007.12.20 7460
64 도우미 바람의종 2007.12.18 8198
63 고구마 바람의종 2007.12.18 8830
62 가시버시 바람의종 2007.12.17 7541
61 궁시렁궁시렁 바람의종 2007.12.17 7011
60 토족말 지킴이 챙고츠 바람의종 2007.12.16 7036
59 새말의 정착 바람의종 2007.12.16 7484
58 다슬기 바람의종 2007.12.15 8766
57 옮김과 뒤침 바람의종 2007.12.15 8129
56 꿍치다 바람의종 2007.12.14 9338
55 말과 나라 바람의종 2007.12.14 6764
» 뒷담화 바람의종 2007.12.13 7171
53 부추? 바람의종 2007.12.13 6266
52 우리와 저희 바람의종 2007.12.12 8476
51 다방구 바람의종 2007.12.12 8958
50 몽골말과 몽골어파 바람의종 2007.11.10 9669
49 훈훈하다 바람의종 2007.11.09 1344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