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1.06 00:34

책보따리·책보퉁이

조회 수 8674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책보따리·책보퉁이

지금은 초등학생이나 대학생 가릴 것 없이 ‘책가방’을 메고 다니지만, 1970년대 이전만 해도 국민학생들은 ‘책보’를 들거나 메고 다녔다. 중학생이 되어 제복을 입게 되면서 비로소 ‘책가방’을 들고 다녔다. 넉넉한 집 아이들은 멜빵가방(란도셀, ransel)을 메기도 했지만, 대부분은 ‘책보’였다. 책보는 ‘책보자기’, ‘책보따리’, ‘책보퉁이’로도 불렸는데, 국어사전에는 ‘책보’와 ‘책보자기’만 동의어로 올랐고, ‘책보따리’와 ‘책보퉁이’는 수록되지 않았다.

“야, 빨리 책보따리 싸 가지구 나와.”(박태순 〈어느 사학도의 젊은 시절〉)
“며칠 전에 만석이가 책보따리를 챙겨 들고 나가면서 일러 주던 말이다.”(김춘복 〈쌈짓골〉) “나는 … 방으로 들어가서 책보퉁이를 내던지고, 서랍에서 도장을 꺼내 넣고 다시 나왔다.”(염상섭 〈만세전〉)
“아무도 책보퉁이를 들고 있지 않아서 몸과 마음이 모두 가벼웠다.”(이상문 〈황색인〉)

‘책보’와 ‘책보자기’는 ‘책을 싸는 보자기’를, ‘책보따리’와 ‘책보퉁이’는 ‘책을 보자기에 싸서 꾸린 뭉치’를 말하는 것이어서 뜻이 다르다. 따라서 ‘책보(책보자기)를 싸다’, ‘책보(보자기)를 풀다’ 등으로 쓰고, ‘책보따리(책보퉁이)를 메다’, ‘책보따리(책보퉁이)를 들다’ 등으로 구분해서 써야 하는데, 이 낱말들이 쓰인 용례를 보면 대부분 ‘책보따리’(책보퉁이)의 뜻으로 구분없이 쓰고 있다.

한용운/겨레말큰사전 편찬부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89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52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346
3414 훕시 바람의종 2009.07.12 8952
3413 '-로서'와 '-로써' 바람의종 2008.07.05 11386
3412 '-시키다’ 風文 2023.12.22 1497
3411 '-적' 없애야 말 된다 (14) 종합적 바람의종 2008.03.08 12497
3410 '-화하다' / '-화시키다' 바람의종 2009.08.29 18068
3409 '~어하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4.18 13536
3408 '~적' 줄여 쓰기 바람의종 2009.05.12 11845
3407 'ㅣ'모음 역행동화 바람의종 2008.11.14 7064
3406 '간(間)'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7.27 12056
3405 '같이'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23 12679
3404 '구정'은 일본식 표기 바람의종 2012.09.13 11803
3403 '김'의 예언 風文 2023.04.13 1517
3402 '꼴' 띄어쓰기 바람의종 2012.09.19 15701
3401 '꾀임'에 당하다 바람의종 2011.11.28 8909
3400 '난'과 '란' 바람의종 2008.06.17 8632
3399 '날으는' 과 '나는' 바람의종 2008.06.09 8272
3398 '넓다'와 '밟다' 風文 2023.12.06 1667
3397 '대'와 '선' 바람의종 2010.01.19 6586
3396 '데'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26 11672
3395 '돋구다'와 '돋우다' 바람의종 2008.06.12 9734
3394 '마징가 Z'와 'DMZ' 風文 2023.11.25 1671
3393 '막'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22 1179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