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1.03 00:27

금과 줄

조회 수 5798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금과 줄

지난 세기 중반까지만 해도 국어 시험에 “다음 밑금 그은 문장에서 맞춤법이 틀린 낱말을 찾아 고치시오.” 하는 문제가 많았다. 그런데 60년대를 지나면서 ‘밑금’은 시나브로 ‘밑줄’로 바뀌어 요즘은 모조리 ‘밑줄’뿐이다. “다음 밑줄 친 문장에서 맞춤법이 틀린 낱말을 찾아 고치시오.” 이렇게 되었다. 우리말을 가르치는 국어 교육이 잘못 쓰는 말을 바로잡기는커녕 앞장서 틀린 말을 퍼뜨린 것이다.

종이나 마당 같이 반반한 바닥에 긋는 것은 ‘금’이다. ‘긋다’와 ‘금’, ‘그리다’와 ‘그림’과 ‘글’은 모두 같은 뿌리에서 나왔다. ‘줄’은 시험지 같은 종이에 칠 수가 없다. 빨랫줄이든 전깃줄이든 연줄이든 ‘줄’은 공중에 치는 것이고, 반반한 바닥에는 떨어뜨려 놓을 수밖에 없다. 다만, 바닥에 죽 늘어서 있는 것도 ‘줄’이다. 그러나 이런 ‘줄’은 치지 않고 짓는다. 군인은 줄을 ‘지어’ 걸어가고, 글월은 줄을 ‘지어’ 써내려 간다.

‘줄’은 생김과 쓰임에 따라 여러 가지다. 잡아당겨도 끊어지지 않도록 굵게 드린 ‘바’는 흔히 ‘밧줄’이라고 겹쳐 쓰지만, 씨름꾼이 샅에 매는 ‘샅바’는 그냥 ‘바’다. 실이나 삼이나 종이로 가늘게 꼬는 ‘노’도 ‘노끈’이라고 겹쳐 말하고 조심스러운 물건을 묶는 데 쓴다. ‘올’도 ‘줄’이기는 하나 너무 가늘어서 ‘줄’을 만드는 감에나 쓰인다. 물건을 매거나 묶거나 꿰는 데 두루 쓰이는 ‘끈’이 있고, 평평하게 너비가 있어서 허리띠, 머리띠, 애기 업는 띠로 쓰이는 ‘띠’도 있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52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01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943
3414 “영수증 받으실게요” 風文 2024.01.16 1368
3413 ‘도와센터’ ‘몰던카’ 風文 2024.01.16 1371
3412 ‘거칠은 들판’ ‘낯설은 타향’ 風文 2024.01.09 1404
3411 헷갈리는 맞춤법 風文 2024.01.09 1492
3410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1172
3409 북한의 ‘한글날’ 風文 2024.01.06 1211
3408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169
3407 ‘폭팔’과 ‘망말’ 風文 2024.01.04 1159
3406 있다가, 이따가 風文 2024.01.03 1213
3405 내일러 風文 2024.01.03 1071
3404 아주버님, 처남댁 風文 2024.01.02 1031
3403 한 두름, 한 손 風文 2024.01.02 1090
3402 ‘이고세’와 ‘푸르지오’ 風文 2023.12.30 1144
3401 “이 와중에 참석해 주신 내외빈께” 風文 2023.12.30 1042
3400 뒤치다꺼리 風文 2023.12.29 1112
3399 ‘~스런’ 風文 2023.12.29 1141
3398 ‘며칠’과 ‘몇 일’ 風文 2023.12.28 1092
3397 한소끔과 한 움큼 風文 2023.12.28 1196
3396 '-시키다’ 風文 2023.12.22 1068
3395 여보세요? 風文 2023.12.22 947
3394 장녀, 외딸, 고명딸 風文 2023.12.21 1017
3393 어떤 반성문 風文 2023.12.20 94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