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3665 추천 수 1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의 참된 가치 / 권재일
말겨레
한겨레









우리는 하루를 말로 시작하고 닫는다. 대화나 혼잣말이 있고, 글을 소리 내어 읽어도 말이 된다. 표정이나 손짓으로 생각과 느낌을 나타낼 수는 있지만, 온전히 하지는 못한다. 그래서 우리는 생각·느낌을 거의 말로써 표현한다.

언어는 사람만이 부려쓰는, 무척 중요한 가치를 지닌 사물이다. 의사 전달의 기본 수단인 까닭이다. 이것이 바로 언어의 기능이다. 그러나 그 기능은 단순히 의사 전달 연모에 그치는 것이 아니다. 언어를 통하여 인류 사회는 서로 관계를 맺고 협동하여 문화를 발전시킨다. 언어는 사회 구성원들의 사고 방식과 사물을 파악하는 방법을 형성한다. 생각을 언어로 나타내자면 생각 그 자체를, 언어 조직에 맞도록 조정한다. 그러지 않고서는 생각을 언어로 나타낼 수 없다. 그러므로 언어 구조는, 이를 쓰는 사람들의 정신 세계를 형성하는 주된 구실을 한다. 한 나라나 겨레는 이런 공통된 언어 구조에 이끌려 공통된 정신·생각과 문화를 형성한다. 언어는 이를 쓰는 나라·겨레·문화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한국어는 한국 사람다운 정신을 기르면서 그 문화를 형성하는 데 가장 중요한 구실을 맡아 왔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태어나서 우리말을 배움으로써 그 문화적 전통을 습득하고 민족적 유대감을 쌓고,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다시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 나간다. 우리말의 참된 가치는 바로 여기 있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16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90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568
3150 통합키로, 참석키로 바람의종 2010.05.08 12745
3149 통틀어 바람의종 2007.03.30 7596
3148 통째/통채 바람의종 2008.09.03 11890
3147 통장을 부르다 바람의종 2008.04.17 11826
3146 통음 바람의종 2012.12.21 21519
3145 통속어 활용법 風文 2022.01.28 1683
3144 톨마 file 바람의종 2009.09.21 7731
3143 토족말 지킴이 챙고츠 바람의종 2007.12.16 7374
3142 토씨의 사용 바람의종 2009.05.31 6317
3141 토씨 하나 잘못 쓰면 바람의종 2010.05.06 8551
3140 토를 달다 바람의종 2008.02.01 13993
3139 토끼 바람의종 2008.10.22 8198
3138 터키말과 튀르크어파 바람의종 2007.11.08 6962
3137 터울 바람의종 2008.11.11 7235
3136 터물·더믈 바람의종 2008.04.28 8366
3135 터무니없다 바람의종 2010.04.13 10670
3134 터무니가 없다 바람의종 2008.01.31 11613
3133 택도 없다. 바람의종 2010.08.15 14864
3132 태풍의 눈 바람의종 2008.01.31 10770
3131 태어나다 바람의종 2012.02.28 9714
3130 태백산과 아사달 바람의종 2008.01.21 7960
3129 태극 전사들 風文 2022.01.29 163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