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4.05.08 09:48

서거, 별세, 타계

조회 수 75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서거, 별세, 타계

일요일 새벽, 김영삼 전 대통령의 ‘서거’ 소식이 전해졌다. 사람의 죽음을 높여 이르는 말에는 ‘서거’ 외에 ‘별세’, ‘타계’ 등이 있다.

‘서거’는 대통령 같은 정치 지도자나 종교 지도자, 위대한 예술가 등 비범한 인물의 죽음에 대해 쓴다. 사전에는 지위가 높은 사람이나 존경하는 사람의 죽음을 높여 이르는 말로 풀이하고 ‘조모의 서거, 선생의 서거 50주기를 맞아’ 등의 예문을 ‘왕의 서거’와 함께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사회적으로 상당히 큰 영향을 미쳤던 사람에 한해서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별세’는 세상과 이별한다는 뜻으로, 윗사람의 죽음을 가리키는 가장 일반적인 말이다. 고인의 사회적 지위나 명망에 관계없이 존경의 뜻을 담아서 쓴다. ‘돌아가시다’와 거의 같은 정도의 존대 표현으로 권위적이지 않아 고인에 대한 개인적인 추모 감정이 더 잘 묻어난다. ‘직원 000의 부친 별세’처럼 부고를 전할 때도 유용하게 쓸 수 있다.

‘타계’는 이 세상을 떠나 다른 세계로 간다는 뜻으로 국어사전에는 ‘귀인’의 죽음을 이르는 말로 풀이돼 있다. 쓰임을 분석해 보면 ‘서거’를 쓸 정도는 아니지만 사회에 적잖은 기여를 했거나 어느 정도 지명도가 있는 인물에 쓰인다는 점에서 ‘별세’와는 차이가 있다.

그러나 이 표현들이 언제나 엄격히 구분되는 것은 아니다. 말하는 장면이나 말하는 이의 뜻에 따라 혼용이 가능하다.

얼마 전 만났던 팔순의 어르신 말씀이 떠오른다. 가까운 친구가 세상을 떠난 뒤 그 일을 어떻게 기록해야 할까 고민하셨단다. ‘타계’는 공적인 느낌이 강해서 벗을 잃은 슬픔이 드러나지 않고, ‘별세’를 쓰자니 윗사람이 아니어서 꺼려지고. 여러 날 궁리 끝에 ‘영원히 잠들다’는 뜻의 ‘영면’을 생각해내고는 만족스러우셨다고 한다.

정희원 국립국어원 어문연구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41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01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989
26 사라져가는 언어(2) 바람의종 2007.10.31 7279
25 새말과 사전 바람의종 2007.10.31 6235
24 사전과 방언 바람의종 2007.10.28 6106
23 ‘강한 바람’만인가? 바람의종 2007.10.27 7174
22 맨정신/맨흙 바람의종 2007.10.26 8150
21 사라져가는 언어(1) 바람의종 2007.10.26 6559
20 정서적 의미 바람의종 2007.10.25 9801
19 알타이말 바람의종 2007.10.23 10019
18 외국어와 새말 바람의종 2007.10.22 10197
17 경제성 바람의종 2007.10.21 9760
16 사투리와 토박이말 바람의종 2007.10.20 10088
15 분루 바람의종 2007.10.19 11057
14 우리 바람의종 2007.10.18 8986
13 청소년의 새말 바람의종 2007.10.17 11155
12 방언은 모국어다 바람의종 2007.10.16 8857
11 쉬다와 놀다 바람의종 2007.10.14 10230
10 ‘우거지붙이’ 말 바람의종 2007.10.13 10547
9 ‘부럽다’의 방언형 바람의종 2007.10.11 9279
8 단소리/쓴소리 바람의종 2007.10.09 11617
7 떼부자 바람의종 2007.10.08 11695
6 언어 분류 바람의종 2007.10.06 13360
5 ‘기쁘다’와 ‘즐겁다’ 바람의종 2007.09.29 1240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