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4.03.26 18:05

웃어른/ 윗집/ 위층

조회 수 123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웃어른/ 윗집/ 위층

걸 그룹 EXID의 ‘위아래’라는 노래가 인기다. “위아래 위 위 아래~” 흥겹고 반복적인 리듬에 묘한 중독성이 있어 나도 자주 흥얼거린다. ‘위’와 관련된 말 중에서 ‘웃-’ ‘윗-’ ‘위-’는 헷갈리기 쉽다.

웃어른? 윗어른? 표준어 규정에서는 ‘웃-’과 ‘윗-’은 ‘윗’으로 통일하고 있다. 다만 위아래의 대립이 없는 것은 ‘웃-’으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윗목(아랫목), 윗도리(아랫도리), 윗마을(아랫마을), 윗집(아랫집), 윗니(아랫니)가 표준어가 되는 것이다. 어른의 경우 ‘웃어른’은 있지만 ‘아랫어른’은 없으므로 ‘웃어른’으로 쓴다. 마찬가지로 ‘웃풍’ ‘웃통’ ‘웃돈’이 표준어이다. 그러나 요즘은 ‘웃어른’이라는 말보다 ‘윗어른’이, ‘웃풍’이라는 말보다 ‘위풍’이 훨씬 많이 쓰이는 듯하다.

‘윗옷’과 ‘웃옷’은 무엇이 맞을까? 둘 다 표준어이지만 뜻이 다르다. ‘윗옷’은 위에 입는 옷, ‘상의(上衣)’의 뜻이 되고 ‘웃옷’은 맨 위에 입는 옷, 즉 ‘외투’의 뜻이 된다.

‘윗-’과 ‘위-’는 어떻게 구분하여 쓸까? 명사 ‘위’에 관형의 뜻을 지닌 사이시옷이 결합한 ‘윗-’이 붙는 것이 원칙이지만 된소리나 거친 소리 앞에서는 ‘위-’를 쓴다. 따라서 위층, 위쪽, 위짝이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웃풍’ ‘웃통’도 ‘우풍’ ‘우통’이 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냐고 의문을 품을 수도 있겠다. ‘윗’은 명사 ‘위’에 사이시옷이 결합한 형태이지만 ‘웃-’은 그 자체가 ‘위’의 뜻을 가진 접두사이므로 ‘웃풍’ ‘웃통’이 맞다.

이것만 기억하자.“위아래 위 위 아래~” 위아래가 있으면 ‘윗-’, 위만 있으면 ‘웃-’으로 쓴다.

임수민 KBS 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83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35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397
3414 선교와 압박 風文 2021.09.05 785
3413 '미망인'이란 말 風文 2021.09.10 791
3412 고령화와 언어 風文 2021.10.13 793
3411 딱 그 한마디 風文 2021.09.06 817
3410 언어 경찰 風文 2021.09.02 821
3409 재판받는 한글 風文 2021.10.14 844
3408 편한 마음으로 風文 2021.09.07 858
3407 아이들의 말, 외로운 사자성어 風文 2022.09.17 858
3406 언어공동체, 피장파장 風文 2022.10.09 859
3405 치욕의 언어 風文 2021.09.06 873
3404 맞춤법을 없애자 (3), 나만 빼고 風文 2022.09.10 873
3403 불교, 불꽃의 비유, 백신과 책읽기 風文 2022.09.18 900
3402 어떤 반성문 風文 2023.12.20 911
3401 외국어 선택하기 風文 2022.05.17 913
3400 귀순과 의거 관리자 2022.05.20 913
3399 거짓말, 말, 아닌 글자 風文 2022.09.19 922
3398 배뱅잇굿 風文 2020.05.01 925
3397 여보세요? 風文 2023.12.22 925
3396 위드 코로나(2), '-다’와 책임성 風文 2022.10.06 929
3395 편견의 어휘 風文 2021.09.15 935
3394 1일1농 합시다, 말과 유학생 風文 2022.09.20 938
3393 막냇동생 風文 2023.04.20 94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