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4.03.26 18:05

웃어른/ 윗집/ 위층

조회 수 178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웃어른/ 윗집/ 위층

걸 그룹 EXID의 ‘위아래’라는 노래가 인기다. “위아래 위 위 아래~” 흥겹고 반복적인 리듬에 묘한 중독성이 있어 나도 자주 흥얼거린다. ‘위’와 관련된 말 중에서 ‘웃-’ ‘윗-’ ‘위-’는 헷갈리기 쉽다.

웃어른? 윗어른? 표준어 규정에서는 ‘웃-’과 ‘윗-’은 ‘윗’으로 통일하고 있다. 다만 위아래의 대립이 없는 것은 ‘웃-’으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윗목(아랫목), 윗도리(아랫도리), 윗마을(아랫마을), 윗집(아랫집), 윗니(아랫니)가 표준어가 되는 것이다. 어른의 경우 ‘웃어른’은 있지만 ‘아랫어른’은 없으므로 ‘웃어른’으로 쓴다. 마찬가지로 ‘웃풍’ ‘웃통’ ‘웃돈’이 표준어이다. 그러나 요즘은 ‘웃어른’이라는 말보다 ‘윗어른’이, ‘웃풍’이라는 말보다 ‘위풍’이 훨씬 많이 쓰이는 듯하다.

‘윗옷’과 ‘웃옷’은 무엇이 맞을까? 둘 다 표준어이지만 뜻이 다르다. ‘윗옷’은 위에 입는 옷, ‘상의(上衣)’의 뜻이 되고 ‘웃옷’은 맨 위에 입는 옷, 즉 ‘외투’의 뜻이 된다.

‘윗-’과 ‘위-’는 어떻게 구분하여 쓸까? 명사 ‘위’에 관형의 뜻을 지닌 사이시옷이 결합한 ‘윗-’이 붙는 것이 원칙이지만 된소리나 거친 소리 앞에서는 ‘위-’를 쓴다. 따라서 위층, 위쪽, 위짝이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웃풍’ ‘웃통’도 ‘우풍’ ‘우통’이 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냐고 의문을 품을 수도 있겠다. ‘윗’은 명사 ‘위’에 사이시옷이 결합한 형태이지만 ‘웃-’은 그 자체가 ‘위’의 뜻을 가진 접두사이므로 ‘웃풍’ ‘웃통’이 맞다.

이것만 기억하자.“위아래 위 위 아래~” 위아래가 있으면 ‘윗-’, 위만 있으면 ‘웃-’으로 쓴다.

임수민 KBS 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부장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57277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203780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18667
    read more
  4. 선교와 압박

    Date2021.09.05 By風文 Views985
    Read More
  5. 언어 경찰

    Date2021.09.02 By風文 Views993
    Read More
  6. 악담의 악순환

    Date2021.09.13 By風文 Views1002
    Read More
  7. 재판받는 한글

    Date2021.10.14 By風文 Views1022
    Read More
  8. 딱 그 한마디

    Date2021.09.06 By風文 Views1032
    Read More
  9. '미망인'이란 말

    Date2021.09.10 By風文 Views1055
    Read More
  10. 치욕의 언어

    Date2021.09.06 By風文 Views1067
    Read More
  11. 언어공동체, 피장파장

    Date2022.10.09 By風文 Views1084
    Read More
  12. 배뱅잇굿

    Date2020.05.01 By風文 Views1091
    Read More
  13. 대명사의 탈출

    Date2021.09.02 By風文 Views1111
    Read More
  14. 맞춤법을 없애자 (3), 나만 빼고

    Date2022.09.10 By風文 Views1111
    Read More
  15. 귀순과 의거

    Date2022.05.20 By관리자 Views1121
    Read More
  16. 외국어 선택하기

    Date2022.05.17 By風文 Views1123
    Read More
  17. 편한 마음으로

    Date2021.09.07 By風文 Views1125
    Read More
  18. 비판과 막말

    Date2021.09.15 By風文 Views1135
    Read More
  19. 뒷담화

    Date2020.05.03 By風文 Views1136
    Read More
  20. 불교, 불꽃의 비유, 백신과 책읽기

    Date2022.09.18 By風文 Views1137
    Read More
  21. 거짓말, 말, 아닌 글자

    Date2022.09.19 By風文 Views1151
    Read More
  22. 위드 코로나(2), '-다’와 책임성

    Date2022.10.06 By風文 Views1151
    Read More
  23. 불교, 경계를 넘다, 동서남북

    Date2022.08.15 By風文 Views1152
    Read More
  24. 막냇동생

    Date2023.04.20 By風文 Views1163
    Read More
  25. 아이들의 말, 외로운 사자성어

    Date2022.09.17 By風文 Views1168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