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4.02.18 17:02

배레나룻

조회 수 205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배레나룻

얼짱 열풍에 이어 몸짱 열풍이 일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탄탄한 몸매를 만드는 데 많은 돈과 시간과 투자하고 있다. 몇몇 남자 연예인들은 자신의 식스팩(?)을 노출함으로써 자신의 완벽한 몸매를 자랑한다. 이때 ‘배레나룻’도 함께 노출함으로써 자신의 남성성을 한껏 드러내기도 한다. 그런데 ‘배레나룻’은 아직 국어사전에 올라 있지 않은 새말이다.

‘배레나룻’은 ‘아랫배에 수염처럼 잇따라 길게 난 털’을 가리키기 위해 새로 만들어 낸 말이다. ‘귀밑에서 턱까지 잇따라 난 수염’을 뜻하는 ‘구레나룻’에 유추하여 만든 것이다. ‘구레나룻’은 ‘구레-나룻’처럼 분석되는데, ‘나룻’은 ‘수염’을 뜻하는 말로 그 어원이 분명하지만 ‘구레’의 어원은 불분명하다. 이러한 ‘구레나룻’을 ‘귀밑에 잇따라 길게 난 털’로 이해하여, ‘배 밑에 잇따라 길게 난 털’을 뜻하는 말로서 ‘배레나룻’을 새로 만든 것이다.

그렇지만 ‘배레나룻’의 구체적인 말 만들기 과정은 불명확하다. 우선 ‘배’와 ‘구레나룻’을 합성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구레나룻’의 ‘구’가 절단된다. 달리 ‘구레나룻’을 ‘구’와 ‘-레나룻’으로 잘못 분석하여, ‘구’ 자리에 ‘배’를 집어넣은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즉, ‘배’와 ‘-레나룻’을 결합하여 만든 것이다. 둘 다 우리말의 말 만들기 규칙과 큰 거리가 있어 아주 자연스럽지는 않다.

이렇듯 ‘배레나룻’이 불명확하고 자연스럽지 않게 새로 만든 말이지만, 순 우리말을 활용한 새말이라는 점은 상당히 고무적이다. 최근 우리말의 새말 만들기에서 순 우리말의 활용도가 크게 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왕이면 순 우리말을 활용하여 새말을 만들어 쓸 필요가 있다.

박용찬 대구대 국어교육과 부교수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62572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23970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08May
    by 風文
    2024/05/08 by 風文
    Views 1053 

    서거, 별세, 타계

  5. No Image 06Sep
    by 風文
    2021/09/06 by 風文
    Views 1073 

    딱 그 한마디

  6. No Image 13Sep
    by 風文
    2021/09/13 by 風文
    Views 1073 

    악담의 악순환

  7. No Image 08May
    by 風文
    2024/05/08 by 風文
    Views 1077 

    ‘수놈’과 ‘숫놈’

  8. No Image 14Oct
    by 風文
    2021/10/14 by 風文
    Views 1097 

    재판받는 한글

  9. No Image 06Sep
    by 風文
    2021/09/06 by 風文
    Views 1142 

    치욕의 언어

  10. No Image 02Sep
    by 風文
    2021/09/02 by 風文
    Views 1144 

    대명사의 탈출

  11. No Image 01May
    by 風文
    2020/05/01 by 風文
    Views 1145 

    배뱅잇굿

  12. No Image 10Sep
    by 風文
    2021/09/10 by 風文
    Views 1157 

    '미망인'이란 말

  13. No Image 15Sep
    by 風文
    2021/09/15 by 風文
    Views 1198 

    비판과 막말

  14. No Image 10Sep
    by 風文
    2022/09/10 by 風文
    Views 1198 

    맞춤법을 없애자 (3), 나만 빼고

  15. No Image 03May
    by 風文
    2020/05/03 by 風文
    Views 1201 

    뒷담화

  16. No Image 18Sep
    by 風文
    2022/09/18 by 風文
    Views 1225 

    불교, 불꽃의 비유, 백신과 책읽기

  17. No Image 17Sep
    by 風文
    2022/09/17 by 風文
    Views 1234 

    아이들의 말, 외로운 사자성어

  18. No Image 19Sep
    by 風文
    2022/09/19 by 風文
    Views 1246 

    거짓말, 말, 아닌 글자

  19. No Image 20May
    by 관리자
    2022/05/20 by 관리자
    Views 1259 

    귀순과 의거

  20. No Image 07Sep
    by 風文
    2021/09/07 by 風文
    Views 1263 

    편한 마음으로

  21. No Image 09Oct
    by 風文
    2022/10/09 by 風文
    Views 1267 

    언어공동체, 피장파장

  22. No Image 20Apr
    by 風文
    2023/04/20 by 風文
    Views 1279 

    막냇동생

  23. No Image 17May
    by 風文
    2022/05/17 by 風文
    Views 1287 

    외국어 선택하기

  24. No Image 24Nov
    by 風文
    2023/11/24 by 風文
    Views 1300 

    내색

  25. No Image 06Oct
    by 風文
    2022/10/06 by 風文
    Views 1301 

    위드 코로나(2), '-다’와 책임성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