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4.02.18 16:59

‘요새’와 ‘금세’

조회 수 141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요새’와 ‘금세’

오래된 수수께끼 중에 ‘세상에서 가장 작은 새는 무엇일까’라는 게 있다. ‘종달새’ ‘참새’ ‘벌새’ 등 모두 자기가 아는 작은 새 이름을 떠올리느라 바쁘겠지만 정답은 ‘눈 깜짝할 새’이다. 눈을 한 번 살짝 감았다 뜨는 짧은 동안이니, 과연 그보다 더 작은 ‘새’는 없을 것이다. 이것은 ‘사이’가 줄어서 ‘새’가 되는 데 착안한 언어유희로, 어르신들은 ‘싱거운’ 소리라고 하실 테지만 젊은이들은 ‘썰렁한’ 농담이라고 할 것이다.

요새 젊은이들이 새로 만들어 쓰는 말 중에 ‘금사빠’라는 게 있다. ‘금세 사랑에 빠지는 사람’을 줄여 이르는 말이다. ‘그 친구는 금사빠야’ ‘내 금사빠 성향을 어떻게 고쳐야 하지’처럼 쓴다. 그런데 이때 ‘금세’를 어떻게 써야 할지 혼란스러워 하는 사람이 많다. ‘금세’가 맞나, ‘금새’가 맞나? ‘요새, 어느새, 밤새’ 같은 말에서처럼 ‘새’로 적는 게 맞지 않을까?

이 말들을 적을 때 혼동하는 이유는 우리말에서 ‘애’와 ‘에’의 발음이 잘 구분되지 않기 때문이다. 말하고 들을 때는 구분되지 않는 소리들을 구분해서 적자니 혼란스러운 것이다. 그럴 때는 이 말들이 어떻게 해서 생겨난 말인지를 알고 있는 게 도움이 된다.

‘요새, 어느새, 밤새’의 ‘새’는 ‘눈 깜짝할 새’의 ‘새’처럼 모두 ‘사이’가 줄어든 말이다. ‘요사이’가 줄어서 ‘요새’, ‘밤사이’가 줄어서 ‘밤새’가 되었다. ‘아이’가 줄어서 ‘애’가 되는 것과 마찬가지다.

‘금세’는 ‘지금, 이제’ 등의 의미를 나타내는 ‘금시(今時)’에 조사 ‘에’가 결합된 ‘금시에’가 줄어서 된 말이다. ‘금시초문(今時初聞)’이라고 할 때의 ‘금시’와 ‘에’가 합쳐진 말로서, ‘금새’가 아니라 ‘금세’로 쓴다.

정희원 국립국어원 어문연구실장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49049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195553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10488
    read more
  4. 어떤 반성문

    Date2023.12.20 By風文 Views992
    Read More
  5. 여보세요?

    Date2023.12.22 By風文 Views994
    Read More
  6. 불교, 경계를 넘다, 동서남북

    Date2022.08.15 By風文 Views1000
    Read More
  7. 내색

    Date2023.11.24 By風文 Views1009
    Read More
  8. 1일1농 합시다, 말과 유학생

    Date2022.09.20 By風文 Views1015
    Read More
  9. 올해엔 저지른다, ‘죄송하지만’

    Date2022.08.04 By風文 Views1019
    Read More
  10. 왜 벌써 절망합니까 - 훼방만 말아 달라

    Date2022.05.23 By風文 Views1021
    Read More
  11. 부사, 문득

    Date2023.11.16 By風文 Views1024
    Read More
  12. 고양이 살해, 최순실의 옥중수기

    Date2022.08.18 By風文 Views1027
    Read More
  13. 언어와 인권

    Date2021.10.28 By風文 Views1031
    Read More
  14. 왜 벌써 절망합니까 - 8. 경영하지 않는 경영자들

    Date2022.02.13 By관리자 Views1032
    Read More
  15. 뒷담화

    Date2020.05.03 By風文 Views1033
    Read More
  16. 잃어버린 말 찾기, ‘영끌’과 ‘갈아넣다’

    Date2022.08.30 By風文 Views1040
    Read More
  17. 댄싱 나인 시즌 스리

    Date2023.04.21 By風文 Views1042
    Read More
  18. 영어 절대평가

    Date2022.05.17 By風文 Views1044
    Read More
  19. 짧아져도 완벽해, “999 대 1”

    Date2022.08.27 By風文 Views1046
    Read More
  20. ‘맞다’와 ‘맞는다’, 이름 바꾸기

    Date2022.09.11 By風文 Views1047
    Read More
  21. 올바른 명칭

    Date2022.01.09 By風文 Views1051
    Read More
  22. 댕댕이, 코로나는 여성?

    Date2022.10.07 By風文 Views1051
    Read More
  23. 안녕히, ‘~고 말했다’

    Date2022.10.11 By風文 Views1051
    Read More
  24. 사과의 법칙, ‘5·18’이라는 말

    Date2022.08.16 By風文 Views1052
    Read More
  25. 이중피동의 쓸모

    Date2023.11.10 By風文 Views1054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