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74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떼려야 뗄 수 없는 인연

KBS 특별 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 1983년 6월 30일부터 장장 138일간에 걸쳐 5만여 명이 출연한 역사적 방송, 분단이 빚어낸 슬픈 감동의 드라마였다. 삼십 년이 지났지만 이산의 아픔은 계속되고 있다. 얼마 전 금강산에서 이뤄진 이산가족 상봉을 보며 60년이 넘는 세월도 혈육의 인연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것임을 다시 느꼈다.

흔히 인연을 얘기할 때 ‘뗄래야 뗄 수 없는’이라는 표현을 많이 쓴다. 그러나 이는 ‘떼려야 뗄 수 없는’의 잘못이다. ‘떼려야’는 ‘떼다’의 ‘떼’와 ‘려야’가 결합한 말로 ‘-려야’는 ‘-려고 하여야’가 줄어든 것이다. 즉 ‘떼려고 하여야 뗄 수 없는’이 줄어 ‘떼려야 뗄 수 없는’이 된 것이다. ‘떼’에 ‘ㄹ래야’가 결합한 ‘뗄래야’는 풀어 쓰면 ‘뗄라고 해야’가 되는데 이는 표준어가 아니다.

마찬가지로 ‘갈래야 갈 수 없는 고향’도 ‘가려야 갈 수 없는 고향’으로 쓰는 것이 맞다. ‘가려야’는 ‘갈라고 해야’가 아니라 ‘가려고 해야’가 줄어든 형태이기 때문이다.

이와 비슷한 예는 수도 없이 많다. ‘먹을래야 먹을 수 없는 음식’이 아니라 ‘먹으려야 먹을 수 없는 음식’, ‘볼래야 볼 수 없는 광경’이 아니라 ‘보려야 볼 수 없는 광경’, ‘할래야 할 수 없는 일’이 아니라 ‘하려야 할 수 없는 일’로 쓰는 것이 맞다.

많은 사람들이 ‘떼려야’가 맞는 표현이라고 해도 ‘뗄래야’가 자연스럽다고 말한다. 아마도 입에 익지 않아서일 것이다. 절대 다수의 사람들이 ‘뗄래야’를 계속 고집한다면 언젠가는 규정이 바뀔 수도 있겠지만 아직은 아니다.

임수민 KBS 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75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32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208
26 재판받는 한글 風文 2021.10.14 997
25 악담의 악순환 風文 2021.09.13 987
24 언어 경찰 風文 2021.09.02 971
23 선교와 압박 風文 2021.09.05 967
22 고령화와 언어 風文 2021.10.13 963
21 상투적인 반성 風文 2021.10.10 946
20 어버이들 風文 2021.10.10 941
19 또 다른 이름 風文 2021.09.05 935
18 정치인들의 말 風文 2021.10.08 898
17 군인의 말투 風文 2021.09.14 892
16 공공 재산, 전화 風文 2021.10.08 883
15 아무 - 누구 風文 2020.05.05 874
14 또 다른 공용어 風文 2021.09.07 874
13 법률과 애국 風文 2021.09.10 858
12 언어적 주도력 風文 2021.09.13 854
11 무제한 발언권 風文 2021.09.14 840
10 서거, 별세, 타계 風文 2024.05.08 834
9 잡담의 가치 風文 2021.09.03 829
8 말의 권모술수 風文 2021.10.13 815
7 ‘수놈’과 ‘숫놈’ 風文 2024.05.08 799
6 ‘Merry Christmas!’ ‘Happy New Year!’ 風文 2024.05.10 739
5 주책이다/ 주책없다, 안절부절하다/안절부절못하다, 칠칠하다/칠칠치 못하다 風文 2024.05.10 65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