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208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떼려야 뗄 수 없는 인연

KBS 특별 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 1983년 6월 30일부터 장장 138일간에 걸쳐 5만여 명이 출연한 역사적 방송, 분단이 빚어낸 슬픈 감동의 드라마였다. 삼십 년이 지났지만 이산의 아픔은 계속되고 있다. 얼마 전 금강산에서 이뤄진 이산가족 상봉을 보며 60년이 넘는 세월도 혈육의 인연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것임을 다시 느꼈다.

흔히 인연을 얘기할 때 ‘뗄래야 뗄 수 없는’이라는 표현을 많이 쓴다. 그러나 이는 ‘떼려야 뗄 수 없는’의 잘못이다. ‘떼려야’는 ‘떼다’의 ‘떼’와 ‘려야’가 결합한 말로 ‘-려야’는 ‘-려고 하여야’가 줄어든 것이다. 즉 ‘떼려고 하여야 뗄 수 없는’이 줄어 ‘떼려야 뗄 수 없는’이 된 것이다. ‘떼’에 ‘ㄹ래야’가 결합한 ‘뗄래야’는 풀어 쓰면 ‘뗄라고 해야’가 되는데 이는 표준어가 아니다.

마찬가지로 ‘갈래야 갈 수 없는 고향’도 ‘가려야 갈 수 없는 고향’으로 쓰는 것이 맞다. ‘가려야’는 ‘갈라고 해야’가 아니라 ‘가려고 해야’가 줄어든 형태이기 때문이다.

이와 비슷한 예는 수도 없이 많다. ‘먹을래야 먹을 수 없는 음식’이 아니라 ‘먹으려야 먹을 수 없는 음식’, ‘볼래야 볼 수 없는 광경’이 아니라 ‘보려야 볼 수 없는 광경’, ‘할래야 할 수 없는 일’이 아니라 ‘하려야 할 수 없는 일’로 쓰는 것이 맞다.

많은 사람들이 ‘떼려야’가 맞는 표현이라고 해도 ‘뗄래야’가 자연스럽다고 말한다. 아마도 입에 익지 않아서일 것이다. 절대 다수의 사람들이 ‘뗄래야’를 계속 고집한다면 언젠가는 규정이 바뀔 수도 있겠지만 아직은 아니다.

임수민 KBS 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부장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62663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2405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08May
    by 風文
    2024/05/08 by 風文
    Views 1053 

    서거, 별세, 타계

  5. No Image 13Sep
    by 風文
    2021/09/13 by 風文
    Views 1073 

    악담의 악순환

  6. No Image 06Sep
    by 風文
    2021/09/06 by 風文
    Views 1076 

    딱 그 한마디

  7. No Image 08May
    by 風文
    2024/05/08 by 風文
    Views 1077 

    ‘수놈’과 ‘숫놈’

  8. No Image 14Oct
    by 風文
    2021/10/14 by 風文
    Views 1097 

    재판받는 한글

  9. No Image 01May
    by 風文
    2020/05/01 by 風文
    Views 1145 

    배뱅잇굿

  10. No Image 02Sep
    by 風文
    2021/09/02 by 風文
    Views 1148 

    대명사의 탈출

  11. No Image 06Sep
    by 風文
    2021/09/06 by 風文
    Views 1149 

    치욕의 언어

  12. No Image 10Sep
    by 風文
    2021/09/10 by 風文
    Views 1157 

    '미망인'이란 말

  13. No Image 15Sep
    by 風文
    2021/09/15 by 風文
    Views 1198 

    비판과 막말

  14. No Image 10Sep
    by 風文
    2022/09/10 by 風文
    Views 1200 

    맞춤법을 없애자 (3), 나만 빼고

  15. No Image 03May
    by 風文
    2020/05/03 by 風文
    Views 1201 

    뒷담화

  16. No Image 18Sep
    by 風文
    2022/09/18 by 風文
    Views 1226 

    불교, 불꽃의 비유, 백신과 책읽기

  17. No Image 17Sep
    by 風文
    2022/09/17 by 風文
    Views 1242 

    아이들의 말, 외로운 사자성어

  18. No Image 19Sep
    by 風文
    2022/09/19 by 風文
    Views 1246 

    거짓말, 말, 아닌 글자

  19. No Image 20May
    by 관리자
    2022/05/20 by 관리자
    Views 1259 

    귀순과 의거

  20. No Image 09Oct
    by 風文
    2022/10/09 by 風文
    Views 1267 

    언어공동체, 피장파장

  21. No Image 07Sep
    by 風文
    2021/09/07 by 風文
    Views 1268 

    편한 마음으로

  22. No Image 20Apr
    by 風文
    2023/04/20 by 風文
    Views 1284 

    막냇동생

  23. No Image 17May
    by 風文
    2022/05/17 by 風文
    Views 1293 

    외국어 선택하기

  24. No Image 06Oct
    by 風文
    2022/10/06 by 風文
    Views 1309 

    위드 코로나(2), '-다’와 책임성

  25. No Image 24Nov
    by 風文
    2023/11/24 by 風文
    Views 1314 

    내색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