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4.02.17 21:30

내 청춘에게?

조회 수 171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내 청춘에게?

나는 매주 한 번 이상 영화관에 가서 영화를 본다. 그렇게 본 영화에는 독립영화 ‘내 청춘에게 고함’(2006)도 있다. 그런데 영화 제목을 처음 접하자마자 아주 부자연스럽다고 느꼈다. ‘청춘에게’의 ‘에게’ 때문이다.

우리말에서 ‘에게’는 “사람들에게 소식을 알리다” “개에게 먹이를 주다” 등처럼 사람이나 동물을 나타내는 말 뒤에 붙는 격 조사이다. “본부에 상황을 알리다” “나는 꽃에 물을 주었다” 등처럼 식물이나 무생물을 나타내는 체언 뒤에는 ‘에게’ 대신 ‘에’가 붙는다. 체언의 의미에 따라 ‘에게’와 ‘에’를 구분해 쓰는 것이다. 물론 동시나 동화에서 식물이나 무생물을 의인화한 경우 “나무에게 말하다”처럼 식물이나 무생물이라도 ‘에게’를 쓸 수 있다.

그런데 영화 ‘내 청춘에게 고함’에서 ‘청춘’은 ‘십 대 후반에서 이십 대에 걸치는 인생의 젊은 나이 또는 그런 시절’을 이르는 말로서 무생물이다. 무생물인 ‘청춘’을 의인화한 것으로 볼 수도 없다. 따라서 ‘청춘’ 뒤에는 ‘에게’가 아닌 ‘에’를 써야 한다.

한편 그 의미가 쉽게 파악되지 않는 몇몇 체언이 있어 주의를 요한다. “○○ 세대에/에게 바치다”의 ‘세대’가 바로 그것이다. 이로 인해 ‘세대’ 뒤에 ‘에게’를 써야 할지 ‘에’를 써야 할지 헷갈릴 수 있다. ‘세대’는 ‘어린아이가 성장하여 부모 일을 계승할 때까지의 약 30년 정도 되는 기간’(무생물)과 ‘같은 시대에 살면서 공통의 의식을 가지는 비슷한 연령층의 사람 전체’(사람)의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세대’ 뒤에는 그 의미에 따라 ‘에’를 쓸 수도 있고 ‘에게’를 쓸 수도 있다. ‘계급’이나 ‘계층’도 그런 체언에 해당한다.

박용찬 대구대 국어교육과 부교수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58179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204879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19690
    read more
  4. 고령화와 언어

    Date2021.10.13 By風文 Views991
    Read More
  5. 언어 경찰

    Date2021.09.02 By風文 Views995
    Read More
  6. 악담의 악순환

    Date2021.09.13 By風文 Views1008
    Read More
  7. 재판받는 한글

    Date2021.10.14 By風文 Views1029
    Read More
  8. 딱 그 한마디

    Date2021.09.06 By風文 Views1032
    Read More
  9. '미망인'이란 말

    Date2021.09.10 By風文 Views1078
    Read More
  10. 치욕의 언어

    Date2021.09.06 By風文 Views1090
    Read More
  11. 배뱅잇굿

    Date2020.05.01 By風文 Views1108
    Read More
  12. 언어공동체, 피장파장

    Date2022.10.09 By風文 Views1113
    Read More
  13. 대명사의 탈출

    Date2021.09.02 By風文 Views1116
    Read More
  14. 맞춤법을 없애자 (3), 나만 빼고

    Date2022.09.10 By風文 Views1132
    Read More
  15. 귀순과 의거

    Date2022.05.20 By관리자 Views1139
    Read More
  16. 비판과 막말

    Date2021.09.15 By風文 Views1144
    Read More
  17. 뒷담화

    Date2020.05.03 By風文 Views1149
    Read More
  18. 불교, 불꽃의 비유, 백신과 책읽기

    Date2022.09.18 By風文 Views1149
    Read More
  19. 외국어 선택하기

    Date2022.05.17 By風文 Views1157
    Read More
  20. 편한 마음으로

    Date2021.09.07 By風文 Views1163
    Read More
  21. 막냇동생

    Date2023.04.20 By風文 Views1166
    Read More
  22. 거짓말, 말, 아닌 글자

    Date2022.09.19 By風文 Views1168
    Read More
  23. 아이들의 말, 외로운 사자성어

    Date2022.09.17 By風文 Views1185
    Read More
  24. 위드 코로나(2), '-다’와 책임성

    Date2022.10.06 By風文 Views1192
    Read More
  25. 부사, 문득

    Date2023.11.16 By風文 Views1192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