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4.02.08 08:32

금수저 흙수저

조회 수 141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금수저 흙수저

정직한 사람이 복을 받는다는 ‘금도끼 은도끼’ 이야기를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이처럼 옛이야기들은 대부분 가난하더라도 착하게 열심히 살아가다 보면 잘살게 되리라는 교훈과 희망의 메시지를 담고 있다. 그런데 요즘 젊은이들은 더 이상 이런 얘기를 믿지 않는 것 같다.

청년층을 중심으로 ‘금수저’와 흙수저’라는 신조어가 유행하고 있다고 한다. 노력보다 부모의 배경에 따라 장래가 결정된다는, 젊은이들의 현실 자조적인 생각에서 나온 표현이다. ‘금수저’는 돈 많고 능력 있는 부모를 둔 사람을 가리키는 반면, ‘흙수저’는 돈도 배경도 변변찮아 기댈 데가 없는 사람들을 지칭한다.

이 말은 ‘은수저를 물고 태어나다’라고 하는 영어 관용 표현으로부터 나왔다. 은은 값진 귀금속이면서 독극물에 닿으면 검게 변하는 특성이 있어 예로부터 고급 식기로 사용돼 왔다. 이에 동서양을 막론하고 은수저는 부의 상징으로 여겨졌기에, 날 때부터 ‘은수저를 물고’ 있었다는 것은 곧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났다는 의미가 되었다.

여기서 유래하여 처음 ‘은수저’라는 말이 집안 좋은 이들을 지칭할 때 사용되다가 은보다 금이 더 가치가 높다는 데서 곧 ‘금수저’란 말로 대체되었다. 이어서 ‘금수저’에 대비하여 부모로부터 물려받을 것이 아무것도 없는 사람들을 가리키는 용어로 ‘흙수저’라는 말이 추가로 만들어진 것이다. 인터넷에는 금수저 연예인 명단과 함께 자신이 흙수저 계층인지 아닌지 판단할 수 있는 기준표까지 돌아다니고 있다.

언어는 사회의 거울이라고 한다. 특히 유행하는 신조어는 우리 사회가 직면한 현실과 그것을 바라보는 우리의 생각을 꾸밈없이 비춰준다. 그것이 ‘금수저’와 ‘흙수저’로 상징되는 부의 편중과 대물림 현상이라는 것이 가슴 아프다.

정희원 국립국어원 어문연구실장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49481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195947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10987
    read more
  4. 막장 발언, 연변의 인사말

    Date2022.05.25 By風文 Views1008
    Read More
  5. 내색

    Date2023.11.24 By風文 Views1009
    Read More
  6. 여보세요?

    Date2023.12.22 By風文 Views1018
    Read More
  7. 불교, 경계를 넘다, 동서남북

    Date2022.08.15 By風文 Views1026
    Read More
  8. 1일1농 합시다, 말과 유학생

    Date2022.09.20 By風文 Views1028
    Read More
  9. 부사, 문득

    Date2023.11.16 By風文 Views1031
    Read More
  10. 올해엔 저지른다, ‘죄송하지만’

    Date2022.08.04 By風文 Views1033
    Read More
  11. 뒷담화

    Date2020.05.03 By風文 Views1037
    Read More
  12. 왜 벌써 절망합니까 - 훼방만 말아 달라

    Date2022.05.23 By風文 Views1042
    Read More
  13. 언어와 인권

    Date2021.10.28 By風文 Views1043
    Read More
  14. 왜 벌써 절망합니까 - 8. 경영하지 않는 경영자들

    Date2022.02.13 By관리자 Views1045
    Read More
  15. 고양이 살해, 최순실의 옥중수기

    Date2022.08.18 By風文 Views1049
    Read More
  16. 안녕히, ‘~고 말했다’

    Date2022.10.11 By風文 Views1055
    Read More
  17. 잃어버린 말 찾기, ‘영끌’과 ‘갈아넣다’

    Date2022.08.30 By風文 Views1057
    Read More
  18. 영어 절대평가

    Date2022.05.17 By風文 Views1060
    Read More
  19. 짧아져도 완벽해, “999 대 1”

    Date2022.08.27 By風文 Views1060
    Read More
  20. 댕댕이, 코로나는 여성?

    Date2022.10.07 By風文 Views1061
    Read More
  21. 댄싱 나인 시즌 스리

    Date2023.04.21 By風文 Views1062
    Read More
  22. 올바른 명칭

    Date2022.01.09 By風文 Views1064
    Read More
  23. 사과의 법칙, ‘5·18’이라는 말

    Date2022.08.16 By風文 Views1064
    Read More
  24.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자네 복싱 좋아하나?

    Date2022.02.10 By風文 Views1071
    Read More
  25. 이중피동의 쓸모

    Date2023.11.10 By風文 Views1071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