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4.02.08 08:32

금수저 흙수저

조회 수 213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금수저 흙수저

정직한 사람이 복을 받는다는 ‘금도끼 은도끼’ 이야기를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이처럼 옛이야기들은 대부분 가난하더라도 착하게 열심히 살아가다 보면 잘살게 되리라는 교훈과 희망의 메시지를 담고 있다. 그런데 요즘 젊은이들은 더 이상 이런 얘기를 믿지 않는 것 같다.

청년층을 중심으로 ‘금수저’와 흙수저’라는 신조어가 유행하고 있다고 한다. 노력보다 부모의 배경에 따라 장래가 결정된다는, 젊은이들의 현실 자조적인 생각에서 나온 표현이다. ‘금수저’는 돈 많고 능력 있는 부모를 둔 사람을 가리키는 반면, ‘흙수저’는 돈도 배경도 변변찮아 기댈 데가 없는 사람들을 지칭한다.

이 말은 ‘은수저를 물고 태어나다’라고 하는 영어 관용 표현으로부터 나왔다. 은은 값진 귀금속이면서 독극물에 닿으면 검게 변하는 특성이 있어 예로부터 고급 식기로 사용돼 왔다. 이에 동서양을 막론하고 은수저는 부의 상징으로 여겨졌기에, 날 때부터 ‘은수저를 물고’ 있었다는 것은 곧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났다는 의미가 되었다.

여기서 유래하여 처음 ‘은수저’라는 말이 집안 좋은 이들을 지칭할 때 사용되다가 은보다 금이 더 가치가 높다는 데서 곧 ‘금수저’란 말로 대체되었다. 이어서 ‘금수저’에 대비하여 부모로부터 물려받을 것이 아무것도 없는 사람들을 가리키는 용어로 ‘흙수저’라는 말이 추가로 만들어진 것이다. 인터넷에는 금수저 연예인 명단과 함께 자신이 흙수저 계층인지 아닌지 판단할 수 있는 기준표까지 돌아다니고 있다.

언어는 사회의 거울이라고 한다. 특히 유행하는 신조어는 우리 사회가 직면한 현실과 그것을 바라보는 우리의 생각을 꾸밈없이 비춰준다. 그것이 ‘금수저’와 ‘흙수저’로 상징되는 부의 편중과 대물림 현상이라는 것이 가슴 아프다.

정희원 국립국어원 어문연구실장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62572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23970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13Feb
    by 관리자
    2022/02/13 by 관리자
    Views 1316 

    왜 벌써 절망합니까 - 8. 경영하지 않는 경영자들

  5. No Image 16Nov
    by 風文
    2023/11/16 by 風文
    Views 1317 

    부사, 문득

  6. No Image 03Sep
    by 風文
    2021/09/03 by 風文
    Views 1324 

    옹알이

  7. No Image 31Oct
    by 風文
    2021/10/31 by 風文
    Views 1327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선한 기업이 성공한다

  8. No Image 16Aug
    by 風文
    2022/08/16 by 風文
    Views 1330 

    사과의 법칙, ‘5·18’이라는 말

  9. No Image 15Sep
    by 風文
    2021/09/15 by 風文
    Views 1331 

    편견의 어휘

  10. No Image 21Apr
    by 風文
    2023/04/21 by 風文
    Views 1339 

    댄싱 나인 시즌 스리

  11. No Image 17May
    by 風文
    2022/05/17 by 風文
    Views 1343 

    영어 절대평가

  12. No Image 23May
    by 風文
    2022/05/23 by 風文
    Views 1343 

    왜 벌써 절망합니까 - 훼방만 말아 달라

  13. No Image 15Aug
    by 風文
    2022/08/15 by 風文
    Views 1344 

    불교, 경계를 넘다, 동서남북

  14. No Image 22Dec
    by 風文
    2023/12/22 by 風文
    Views 1345 

    여보세요?

  15. No Image 27May
    by 風文
    2020/05/27 by 風文
    Views 1348 

    교정, 교열 / 전공의

  16. No Image 28Oct
    by 風文
    2021/10/28 by 風文
    Views 1350 

    언어와 인권

  17. No Image 16May
    by 風文
    2020/05/16 by 風文
    Views 1355 

    24시 / 지지지난

  18. No Image 16May
    by 風文
    2022/05/16 by 風文
    Views 1355 

    외국어 선택, 다언어 사회

  19. No Image 10Feb
    by 風文
    2022/02/10 by 風文
    Views 1357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자네 복싱 좋아하나?

  20. No Image 25May
    by 風文
    2020/05/25 by 風文
    Views 1363 

    꼬까울새 / 해독, 치유

  21. No Image 27Jun
    by 風文
    2022/06/27 by 風文
    Views 1365 

    뒷담화 보도, 교각살우

  22. No Image 28Jun
    by 風文
    2022/06/28 by 風文
    Views 1370 

    언어적 도발, 겨레말큰사전

  23. No Image 04Aug
    by 風文
    2022/08/04 by 風文
    Views 1370 

    올해엔 저지른다, ‘죄송하지만’

  24. No Image 18Aug
    by 風文
    2022/08/18 by 風文
    Views 1372 

    고양이 살해, 최순실의 옥중수기

  25. No Image 21Sep
    by 風文
    2022/09/21 by 風文
    Views 1372 

    어떤 청탁, ‘공정’의 언어학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