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4.02.08 08:30

김치 담그셨어요?

조회 수 149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김치 담그셨어요?

가뭄에도 불구하고 올해 배추와 무의 작황이 나쁘지 않다고 한다. 그런데도 김장철을 앞둔 재배 농가의 마음이 가볍지만은 않은 것 같다. 배추 파동으로 김치가 금치가 되는 해가 있는가 하면 어느 해에는 수확도 하지 않은 밭을 갈아엎기도 하고…. 가슴 아픈 일이다. 소비자도 농민도 올해는 모두 웃을 수 있었으면 좋겠다.

겨우내 먹을 김치를 담그는 김장은 우리 민족의 중요한 연중행사이다. 그런데 ‘김치를 담그다’와 ‘김치를 담다’ 중 어느 것이 맞는지 헷갈려 하는 사람이 많다. 김치나 술, 젓갈, 장 등의 재료를 버무리거나 물을 부어서 익거나 삭도록 두는 것은 ‘담그다’이다. ‘담다’는 그릇 등에 뭔가를 넣는 것을 말하므로 ‘담그다’와 구별해서 써야 한다. ‘담그다’가 원형이기 때문에 ‘담아’ ‘담으니’ ‘담았다’가 아니라 ‘담가’ ‘담그니’ ‘담갔다’ 등으로 쓴다. 이렇게 기억하면 쉽다. “담근 김치를 독에 담았다”.

파나 무채, 젓갈 같은 것을 고춧가루와 잘 버무린 것을 절인 배추 사이사이에 넣어 주는 ‘김칫소’는 수육과 곁들이면 별미 중의 별미이다. 김장하는 날이 동네 잔칫날이 되는 이유이다. 흔히 ‘김칫속’이라 하는데 이는 ‘김칫소’의 잘못이다. 송편이나 만두. 김치 등의 속 재료는 ‘소’이다. ‘오이소박이’는 오이 사이사이에 소를 박아 넣은 김치다. ‘오이소배기’는 틀린 말이다. 마찬가지로 ‘차돌배기’가 아니라 ‘차돌박이’가 맞다.
|
종류가 200 가지가 넘는다는 김치 중에 내가 가장 좋아하는 김치는 총각김치다. 잘 익은 총각김치만 있으면 다른 반찬은 필요 없다. 무청의 생김새가 총각이 머리를 땋은 것과 비슷해서 ‘총각무’가 되었단다. ‘알타리무’ ‘알무’ ‘달랑무’라고도 하는데 ‘총각무’만 표준어다.

임수민 KBS 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부장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48907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10314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09Jan
    by 風文
    2024/01/09 by 風文
    Views 1573 

    헷갈리는 맞춤법

  5. No Image 09Jan
    by 風文
    2024/01/09 by 風文
    Views 1484 

    ‘거칠은 들판’ ‘낯설은 타향’

  6. No Image 16Jan
    by 風文
    2024/01/16 by 風文
    Views 1449 

    ‘도와센터’ ‘몰던카’

  7. No Image 16Jan
    by 風文
    2024/01/16 by 風文
    Views 1446 

    “영수증 받으실게요”

  8. No Image 20Jan
    by 風文
    2024/01/20 by 風文
    Views 1458 

    ‘시월’ ‘오뉴월’

  9. No Image 20Jan
    by 風文
    2024/01/20 by 風文
    Views 1360 

    바람을 피다?

  10. No Image 08Feb
    by 風文
    2024/02/08 by 風文
    Views 1490 

    김치 담그셨어요?

  11. No Image 08Feb
    by 風文
    2024/02/08 by 風文
    Views 1362 

    금수저 흙수저

  12. No Image 17Feb
    by 風文
    2024/02/17 by 風文
    Views 1297 

    내 청춘에게?

  13. No Image 17Feb
    by 風文
    2024/02/17 by 風文
    Views 1304 

    떼려야 뗄 수 없는 인연

  14. No Image 18Feb
    by 風文
    2024/02/18 by 風文
    Views 1412 

    ‘요새’와 ‘금세’

  15. No Image 18Feb
    by 風文
    2024/02/18 by 風文
    Views 1307 

    배레나룻

  16. No Image 21Feb
    by 風文
    2024/02/21 by 風文
    Views 1346 

    ‘끄물끄물’ ‘꾸물꾸물’

  17. No Image 21Feb
    by 風文
    2024/02/21 by 風文
    Views 1454 

    가던 길 그냥 가든가

  18. No Image 26Mar
    by 風文
    2024/03/26 by 風文
    Views 1287 

    온나인? 올라인?

  19. No Image 26Mar
    by 風文
    2024/03/26 by 風文
    Views 1339 

    웃어른/ 윗집/ 위층

  20. No Image 27Mar
    by 風文
    2024/03/27 by 風文
    Views 1433 

    갑질

  21. No Image 27Mar
    by 風文
    2024/03/27 by 風文
    Views 1553 

    ‘머스트 해브’와 ‘워너비’

  22. No Image 08May
    by 風文
    2024/05/08 by 風文
    Views 485 

    ‘수놈’과 ‘숫놈’

  23. No Image 08May
    by 風文
    2024/05/08 by 風文
    Views 553 

    서거, 별세, 타계

  24. No Image 10May
    by 風文
    2024/05/10 by 風文
    Views 450 

    ‘Merry Christmas!’ ‘Happy New Year!’

  25. No Image 10May
    by 風文
    2024/05/10 by 風文
    Views 412 

    주책이다/ 주책없다, 안절부절하다/안절부절못하다, 칠칠하다/칠칠치 못하다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