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4.01.09 09:32

헷갈리는 맞춤법

조회 수 238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헷갈리는 맞춤법

이성이 맞춤법을 자주 틀리면 호감도가 떨어진다고 한다. 대학생들을 상대로 한 조사에서 나온 결과이다. 인터넷과 SNS에서는 맞춤법을 일부러 무시하는 경우가 많다. 정겹게 느껴질 때도 있지만 도가 지나치다 싶을 때도 있다. 그래도 일부러 틀리는 것과 모르고 틀리는 것은 구별하는 것 같아 한편으로는 다행이다 싶은 생각도 든다.

헷갈리는 맞춤법 중에 어미와 관련된 것이 많다. ‘-데요’와 ‘-대요’는 뜻이 다르다. ‘-데(요)’는 자신이 경험한 사실을 회상할 때 쓰는 반면에 ‘-대(요)’는 남이 말한 내용을 전달할 때 쓴다. “모스크바는 날씨가 춥데(요)”라고 하면 “모스크바에 가봤더니 날씨가 춥더라”는 뜻이다. 하지만 “모스크바는 날씨가 춥대(요)”라고 하면 “다른 사람들이 모스크바 날씨가 춥다고 하더라”는 뜻이 된다.

‘-에요’와 ‘-예요’는 발음상의 편의에 따라 구분된다. 받침이 있는 체언 뒤에서는 ‘-이에요’, 받침이 없는 체언 뒤에서는 ‘-이에요’가 줄어든 ‘-예요’를 쓴다. “연필이에요” “책이에요” “ 물이에요” “학교예요” “어디예요” “누구예요”와 같이 쓴다. 그렇다면 ‘아니에요’가 맞을까? ‘아니예요’가 맞을까? ‘아니다’는 용언이므로 어간‘아니’에 ‘에요’가 붙어 ‘아니에요’가 된다.

‘되’와 ‘돼’도 쓸 때마다 고민하게 된다. ‘되어’로 바꿀 수 있으면 ‘돼’가 맞다. ‘되어요’ ‘되어서’ ‘되었고’ ‘되었다’가 줄어서 ‘돼요’ ‘돼서’ ‘됐고’ ‘됐다’가 된다. ‘되’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붙어 ‘되고’ ‘되니까’ ‘되는데’처럼 쓴다. ‘되’는 어간으로 홀로 쓸 수 없기 때문에 “안 되”가 아니라 “안 돼”가 맞는 것이다.

임수민 KBS 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05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68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479
3414 훈방, 석방 바람의종 2010.07.23 14995
3413 훈민정음 반포 565돌 바람의종 2011.11.20 14765
3412 후텁지근한 風文 2023.11.15 1818
3411 후덥지근 / 후텁지근 바람의종 2012.05.30 11664
3410 효시 바람의종 2007.10.08 13671
3409 효능, 효과 바람의종 2010.04.25 10749
3408 횡설수설 1 바람의종 2010.11.11 15434
3407 획정, 확정 바람의종 2008.12.10 15121
3406 회피 / 기피 바람의종 2012.07.05 11979
3405 회가 동하다 바람의종 2008.02.01 20515
3404 홰를 치다 바람의종 2008.02.01 40131
3403 황제 바람의종 2012.11.02 18794
3402 황소바람 바람의종 2010.09.04 12053
3401 황새울과 큰새 바람의종 2008.01.24 11502
3400 황금시간 / 우리말 속 일본어 風文 2020.06.11 2178
3399 활개를 치다 바람의종 2008.02.01 12817
3398 환멸은 나의 힘 / 영어는 멋있다? 風文 2022.10.28 1971
3397 환갑 바람의종 2007.10.06 18556
3396 화이바 바람의종 2009.09.24 10744
3395 화성돈 바람의종 2012.08.30 10982
3394 홑몸, 홀몸 바람의종 2009.02.14 12278
3393 홍일점 바람의종 2010.10.06 1516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