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4.01.02 16:03

한 두름, 한 손

조회 수 132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한 두름, 한 손

받고 싶은 추석 선물 1위로 한우가 꼽혔다고 한다. 부동의 1위였던 현금은 2위로 밀렸다. 한우 값 폭등이 원인이라는 분석 기사를 보면서 주머니 사정 생각하니 머릿속이 복잡해진다. 한우에 밀리긴 했지만 굴비도 예나 지금이나 최고급 선물에 속한다. 굴비는 아직도 새끼로 엮어 파는 전통이 남아 있다. 조기 같은 생선을 한 줄에 열 마리씩 두 줄로 엮은 것, 즉 20마리를 한 두름이라고 한다. 오징어도 20마리를 묶어 파는데 이를 ‘축’이라고 한다. 북어 스무 마리를 묶은 것은 ‘쾌’이다. 유독 스물을 나타내는 단위가 많다. 한약 스무 첩은 한 제이다.

‘고등어 한 손’하면 고등어 두 마리를 말한다. ‘손’은 한 손에 잡을만한 분량을 나타내는 말로 조기, 고등어, 배추 등의 한 손은 큰 것 하나와 작은 것 하나를 합한 것을 이른다. 미나리나 파 등의 한 손은 한 줌 분량을 말한다. 참 정겨운 표현이다. 그릇 열 개는 한 죽이다. 옷 열 벌도 ‘죽’이라고 한다. 버선 한 죽(열 켤레), 접시 한 죽과 같이 쓴다. 흔히 서로 뜻이 잘 맞을 때 ‘죽이 잘 맞다’ 고 하는데 여기에서 비롯된 말이다. 한 접은 채소나 과일 100개를 묶어 세는 단위이다. 예전에 우리 어머니는 배추 두 접씩 김장을 하곤 하셨는데 요즘 배추 200포기 김장하는 집이 얼마나 될까 싶다. 마늘, 곶감 등도 접을 쓴다. 오이, 가지 등을 셀 때에는 ‘거리’를 쓰기도 한다. 한 거리는 50개이다. 김을 묶어 세는 단위는 ‘톳’이다. 김 한 톳은 백 장이다.

선물도 시대에 따라 달라지는 것처럼 이제는 사라져 가는 우리말도 많다. 단위를 나타내는 말들이 특히 그렇다. 추석을 앞두니 이런 말들이 멀어져 가는 게 더 아쉽다.

임수민 KBS 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29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87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847
26 후덥지근 / 후텁지근 바람의종 2012.05.30 11523
25 후텁지근한 風文 2023.11.15 1541
24 훈민정음 반포 565돌 바람의종 2011.11.20 14627
23 훈방, 석방 바람의종 2010.07.23 14849
22 훈훈하다 바람의종 2007.11.09 13445
21 휘거 風文 2014.12.05 25063
20 휘발성 바람의종 2010.08.07 14803
19 휘파람새 file 바람의종 2009.09.03 12043
18 휘하 바람의종 2007.10.09 13368
17 휘호 바람의종 2008.11.13 10874
16 휫바람, 휘바람, 휘파람 바람의종 2009.06.30 15589
15 휴거 바람의종 2007.10.10 15172
14 흉내 / 시늉 바람의종 2009.09.07 11736
13 흉칙하다 바람의종 2009.02.02 16238
12 흐리멍텅하다 바람의종 2009.11.09 13478
11 흘리대·흘리덕이 바람의종 2008.07.21 9461
10 흙성과 가린여흘 바람의종 2008.05.31 11168
9 흡연을 삼가 주십시오 바람의종 2008.03.08 16120
8 흡인력, 흡입력 바람의종 2009.11.12 15638
7 흥정 바람의종 2009.06.09 9967
6 희망 바람의종 2007.10.11 11107
5 희쭈그리 바람의종 2008.02.29 1369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