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20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이고세’와 ‘푸르지오’

우리 집 근처엔 ‘이고세’라는 음식점과 ‘푸르지오’라는 아파트가 있다. 이들은 각각 상호와 상품명에 우리말을 활용한 것으로서 아주 특기할 만하다. 그러나 둘 다 약간의 문제를 안고 있다.

먼저 ‘이고세’는 ‘이 곳에’를 그냥 소리 나는 대로 적은 것을 상호로 쓴 것이다. 최근 인터넷 공간에서 우리말을 한글 맞춤법에 따르지 않고 그냥 소리 나는 대로 적는 것과 유사하다. 그런데 그 둘 간에는 출발 지점이 완전히 다르다. 인터넷 공간에서는 빠르게 적기 위해서 그런 데 반해, ‘이고세’는 외국어처럼 보이도록 하기 위해 그런 것이기 때문이다. 견과류 관련 상품을 제조, 판매하는 ‘머거본’이라는 상호도 마찬가지이다. 외국어처럼 보이도록 하기 위해 ‘먹어 본’을 그냥 소리 나는 대로 적은 ‘머거본’을 그 상호로 쓴 것이다.

다음으로 ‘푸르지오’는 한글 표기상으론 별 문제가 없다. 그러나 ‘푸르지오’의 영문 표기가 ‘Prugio’라는 사실을 고려할 때 이 또한 얼마간 문제가 있다. ‘푸르지오’가 우리말의 형용사 ‘푸르-’를 활용한 것이라면 그 영문 표기는 ‘Pureujio’가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Pureujio’라 하지 않고 ‘Prugio’라 한 것은 군말할 필요도 없이 외국어처럼 보이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상호, 상품명 등에 우리말을 활용하는 것은 크게 환영 받을 만한 일이다. 현재보다 훨씬 더 우리말을 활용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현재 상호, 상품명 등의 대부분이 외국어로 도배돼 있다시피 하기 때문이다. ‘이고세’, ‘푸르지오’ 등은 아주 고무적인 현상이라 할 수 있다. 다만, 이들 또한 외국어로 가장되어야만 하는 현실이 씁쓸하다.

박용찬 대구대 국어교육과 부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17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71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620
3238 하느님, 하나님 바람의종 2010.03.22 9657
3237 하노라고, 하느라고 바람의종 2010.04.13 10845
3236 하냥 file 바람의종 2010.03.23 12394
3235 하꼬방 바람의종 2011.11.30 14349
3234 필자 바람의종 2009.09.24 8334
3233 필요한 사람?/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8 8239
3232 핀과 핀트 바람의종 2008.09.25 8847
3231 피죽새 바람의종 2009.06.12 9522
3230 피자집, 맥줏집 바람의종 2009.05.20 9737
3229 피로연 바람의종 2010.07.09 13037
3228 피로 회복 바람의종 2007.12.23 10144
3227 피로 회복 바람의종 2008.08.27 5604
3226 피랍되다 바람의종 2010.03.07 9380
3225 피랍되다 바람의종 2012.12.21 24058
3224 피동형을 즐기라 風文 2023.11.11 1152
3223 피동문의 범람 바람의종 2010.07.13 9694
3222 피난과 피란 바람의종 2008.04.24 9814
3221 피난, 피란 바람의종 2009.04.13 10196
3220 플래카드 바람의종 2009.07.27 7877
3219 프로듀사 風文 2023.05.30 1642
3218 프로 바람의종 2008.11.22 5841
3217 프레임 설정 風文 2022.02.06 195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