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12.29 16:52

‘~스런’

조회 수 180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스런’

며칠 전 텔레비전을 보다 ‘의심스런’이라는 방송 자막을 접했다. 용언 어간 ‘의심스럽-’에 어미 ‘-은’이 결합할 때에는 ‘의심스럽-’의 말음 ‘ㅂ’이 ‘우’로 바뀌기 때문에 ‘의심스러운’으로 써야 한다. 그럼에도 일반 사람들은 ‘의심스러운’ 대신 ‘의심스런’을 더 많이 쓰고 있다.

우리말에서 ‘ㅂ’으로 끝나는 용언은 ‘잡-’(잡다·잡은·잡으니)처럼 어떤 부류의 어미와 결합하든 늘 어간의 말음 ‘ㅂ’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도 있고, ‘덥다’(덥다·더워·더우니)처럼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는 어간의 말음 ‘ㅂ’을 그대로 유지하나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는 ‘ㅂ’이 다른 소리로 바뀌는 것도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를 ‘ㅂ 규칙 용언’이라 하고 후자를 ‘ㅂ 불규칙 용언’이라 한다. ‘의심스럽-’은 ‘ㅂ 불규칙 용언’에 속한다.

그런데 아주 오래 전부터 일상 구어(입말)에서는 ‘의심스럽-’처럼 ‘-스럽-’이 결합되어 파생된 형용사에 어미 ‘-은’을 결합할 때 ‘~스러운’ 대신 ‘~스런’을 써 왔다. ‘의심스런’, ‘자랑스런’, ‘장난스런’ 등이 모두 그렇다. 간결성을 추구하다 보니 이런 현상이 발생한 듯하다. 그렇지만 ‘가렵-’, ‘정답-’ 등의 다른 ‘ㅂ 불규칙 용언’의 경우에는 이런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가려운’, ‘정다운’ 대신 ‘가련’, ‘정단’ 등을 쓰지 않는다. 따라서 ‘~스러운’ 대신 ‘~스런’으로 쓰는 것은 잘못되거나 아주 예외적인 것이다.

과거의 ‘국기에 대한 맹세’에서도 ‘자랑스런’이 버젓이 쓰였었다. 그러나 이러한 사정을 반영하여, 개정된 ‘국기에 대한 맹세’에서는 “나는 자랑스러운 태극기 앞에…”처럼 ‘자랑스런’을 ‘자랑스러운’으로 수정하였다.

박용찬 대구대 국어교육과 부교수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62800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24209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08May
    by 風文
    2024/05/08 by 風文
    Views 1053 

    서거, 별세, 타계

  5. No Image 13Sep
    by 風文
    2021/09/13 by 風文
    Views 1073 

    악담의 악순환

  6. No Image 06Sep
    by 風文
    2021/09/06 by 風文
    Views 1077 

    딱 그 한마디

  7. No Image 08May
    by 風文
    2024/05/08 by 風文
    Views 1082 

    ‘수놈’과 ‘숫놈’

  8. No Image 14Oct
    by 風文
    2021/10/14 by 風文
    Views 1103 

    재판받는 한글

  9. No Image 01May
    by 風文
    2020/05/01 by 風文
    Views 1145 

    배뱅잇굿

  10. No Image 06Sep
    by 風文
    2021/09/06 by 風文
    Views 1149 

    치욕의 언어

  11. No Image 02Sep
    by 風文
    2021/09/02 by 風文
    Views 1154 

    대명사의 탈출

  12. No Image 10Sep
    by 風文
    2021/09/10 by 風文
    Views 1162 

    '미망인'이란 말

  13. No Image 15Sep
    by 風文
    2021/09/15 by 風文
    Views 1198 

    비판과 막말

  14. No Image 03May
    by 風文
    2020/05/03 by 風文
    Views 1202 

    뒷담화

  15. No Image 10Sep
    by 風文
    2022/09/10 by 風文
    Views 1204 

    맞춤법을 없애자 (3), 나만 빼고

  16. No Image 18Sep
    by 風文
    2022/09/18 by 風文
    Views 1241 

    불교, 불꽃의 비유, 백신과 책읽기

  17. No Image 17Sep
    by 風文
    2022/09/17 by 風文
    Views 1242 

    아이들의 말, 외로운 사자성어

  18. No Image 19Sep
    by 風文
    2022/09/19 by 風文
    Views 1246 

    거짓말, 말, 아닌 글자

  19. No Image 20May
    by 관리자
    2022/05/20 by 관리자
    Views 1266 

    귀순과 의거

  20. No Image 09Oct
    by 風文
    2022/10/09 by 風文
    Views 1268 

    언어공동체, 피장파장

  21. No Image 07Sep
    by 風文
    2021/09/07 by 風文
    Views 1272 

    편한 마음으로

  22. No Image 20Apr
    by 風文
    2023/04/20 by 風文
    Views 1285 

    막냇동생

  23. No Image 17May
    by 風文
    2022/05/17 by 風文
    Views 1296 

    외국어 선택하기

  24. No Image 06Oct
    by 風文
    2022/10/06 by 風文
    Views 1314 

    위드 코로나(2), '-다’와 책임성

  25. No Image 24Nov
    by 風文
    2023/11/24 by 風文
    Views 1316 

    내색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